도심 공공주택복합개발은 ‘2·4 대책’의 핵심 사업으로 역세권 빌라촌 및 저층 주거지를 고밀 개발하는 것이다. 앞서 선정된 후보지 38곳 중 12곳은 사업 예정 지구 지정 요건(주민 10% 동의)을 확보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458813.1.jpg)
국토부는 역세권의 범위를 서울에선 역 반경 350m 이내로 정했으나, 인천은 도시 여건 등을 고려해 500m 이내 지역으로 넓혔다. ‘중랑역 역세권’은 인접한 중랑천 생태공원화 사업과 연계해 쾌적한 주거지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용마터널 저층 주거지’는 2012년 재개발 구역에서 해제된 뒤 9년간 방치된 채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제물포역 역세권’도 2010년 재정비촉진지구 해제 이후 급속히 슬럼화된 원도심이다.
국토부는 이들 후보지의 사업성 분석 결과 용도지역 상향 등 인센티브를 통해 민간 재정비 사업 대비 용적률이 평균 76%포인트 오르고, 주택 공급 규모는 평균 396가구(37.8%)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1~3차 발표 후보지 38곳 중 서울 도봉구 쌍문역, 방학역 인근, 영등포구 신길15구역, 강북구 수유12구역 등 12곳이 예정 지구 지정 요건인 10% 동의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중에서도 은평구 증산4구역, 수색14구역 등 두 곳은 본 지구 지정 요건(주민 3분의 2 이상 동의)을 채웠다. 주민 동의 10% 이상을 확보한 곳의 예정 공급 규모는 1만9200가구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