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469925.1.jpg)
자전거주는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야외활동이 줄면서 코로나19 이전까지만 해도 “성장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6년 1427억원에 달했던 삼천리자전거 매출은 2018년 796억원, 2019년 871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엔 코로나19 이후 여행을 못 가는 대신 자전거를 사려는 수요가 늘어 품절 대란까지 겪었다.
지난해 삼천리자전거의 매출은 1208억원이었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83.3%, 533.3% 늘어난 440억원, 95억원을 기록했다. 유안타증권은 올해 삼천리자전거 매출이 1642억원으로 역대 최대일 것으로 전망했다.
안주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출퇴근용, 배달용 자전거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삼천리자전거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9배 수준이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매력도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알톤자전거도 5년간의 적자행진을 끝내고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