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중구에서 근무하는 40대 김모씨는 직장 근처 병원으로부터 “아스트라제네카(AZ) 잔여 백신이 있으니 30분 안에 맞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김씨는 약 1주일 전 이 병원의 대기명단에 이름을 올린 상태였다. 김씨는 병원을 방문해 백신을 맞았지만 병원 시스템에 ‘접종자’로 등록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과 연계된 병원 시스템에서 AZ 백신 한 병당 최대 접종자 수가 10명까지로 제한돼 있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AZ 백신은 한 병당 10명이 맞을 수 있지만, 최소잔여형 주사기(LDS)를 사용하면 12명까지 접종할 수 있다. 김씨는 11번째 접종자였다. 그는 “의료진이 나중에 따로 등록해주겠다고 했지만, 접종한 지 5시간이 지났는데도 접종 확인이나 2차 접종일 안내 문자가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잔여량이 ‘0’인 지역도 많다. 병원 등 위탁의료기관에서 잔여 백신이 나오면 카카오톡·네이버에 표시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마련한 예약대기명단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네이버·카카오톡 앱 당일 예약 서비스를 통해 잔여 백신을 맞은 사람은 4000여 명이었다. 전체 잔여 백신 접종자(6만2000여 명) 중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6%에 그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고령층과 함께 2~3월부터 요양병원·시설에서 접종하고 있다”며 “(앞선 접종 대상 가운데 백신을 맞지 않아) 잔여 백신을 예약할 대상층이 현재로서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