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통해 올 1~4월 전국 확정일자가 부여된 임차인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30대가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세 이상(26.8%), 20대 이하(25.2%), 40대(19.8%) 등 순으로 나타났다.
확정일자 통계가 명확히 공개되기 시작한 2014년과 비교하면 30세 미만 임차인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30세 미만 임차인 비중은 2014년과 2015년 각각 16.4%를 기록한 뒤 오름세를 지속하면서 2019년 22.5%로 처음 20%를 넘겼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와 40대 임차인 비중은 감소했다. 30대 임차인은 2014년 33.5%에서 올해 28.2%로 5.3%포인트 줄었다. 40대는 25.1%에서 19.8%로 감소했다. 특히 40대는 2019년 21.0% 비중을 차지해 같은해 20대 이하 임차인(22.5%)에게 추월당했다.
수도권도 전국과 비슷한 흐름이다. 올 들어 20대 이하 임차인 비중은 22.2%로 증가해 40~49세 임차인(20.8%)보다 많았다. 30~39세는 2014년 33.5%에서 2021년 28.6%로 줄었다.
지방에선 20대 이하 임차인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22.1%로 가장 낮았던 20대 이하 임차인 비중은 올해 31.2%로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30대는 32.6%에서 26.2%로 6.4%포인트 감소했다.
이 같은 현상은 1~2인 가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가격 상승과 맞물려 주택 구매 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20대 이하 젊은 세대가 임대시장에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청약 열풍으로 무주택 기간을 빠르게 채우기 위해 20대 이하에 세대 분리를 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도 한몫했다는 설명이다.
젊은 층을 겨냥한 소형 아파트와 주거용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등이 도심에 더 많이 공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업계에서는 공동주택이 아니면서 주거로 이용되는 이른바 ‘복합주거시설’에 대한 규제도 완화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