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도 채 되지 않아 시장에 대한 가장 큰 위험요소가 180도 뒤집혔다. 오늘날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성장 붕괴를 걱정하기보다 오히려 인플레이션 등 다른 요소들을 걱정하게 됐다. 그 과정에서 미국 국채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위험회피 수단에서 오히려 '위험의 원천'으로 변모했다.
블랙록자산운용사의 러스 쾨스트리치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2일(현지시간) "역사적으로 주식과 금리는 종종 함께 상승하곤 했다"며 "주식은 더 높은 금리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처럼 비정상적으로 낮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가 인플레이션 이후 상승할 때 그렇다.
즉 문제는 '급격한' 상승이 있을 때 유발된다. 투자자들은 금리 수준뿐만 아니라 변동성에도 주목해야 한다. 금리가 어떻게 오르는지가 금리가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수준만큼 중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3월 초 시장이 침체됐을 때 투자자들은 채권시장의 조정 속도에 반응했다. 결과적으로 채권시장 변동성의 급등은 단기간에 끝났지만, 해소되지 않은 역동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차트 1 참조). 투자자들은 수년간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상태만을 상정하다가, 이제는 미 중앙은행(연준)이 어떻게 대응할지는 물론 물가 움직임에도 주시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사고방식이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로서는 수년 만에 처음으로 인플레이션 위험과 씨름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경제봉쇄로 인한 낮은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 계산이 왜곡될 것이란 위험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정부 재정정책과 중앙은행의 자산매입 같은 경기부양책이 어떻게 자금 조달되고 있는지에 관해 상당한 불안감이 있다. 마지막으로 원자재 가격 급등, 왜곡된 공급망, 그리고 잠재적 임금상승을 고려할 때 공급량이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잇따른다.
금리 변동이 증가하는 위험을 나타낸다면 이런 위험으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절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쾨스트리치 매니저는 세 가지를 강조했다. 경기순환주 주식, 자산 등급으로서의 변동성, 현금이다. 산업, 소재, 금융 등 경기순환주들은 금리가 급등하더라도 가장 잘 버틸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투자자들은 낮은 변동성을 이용해 주식선택권(옵션)을 활용하면 하락폭을 줄일 수 있다. 그는 수익률은 낮지만 최고의 안전 수단인 현금 보유도 추천했다.
정리=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