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한국은 물론 동북아시아의 ‘아킬레스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문재인 정부는 심경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AA.26544013.4.jpg)
대만 정부는 지난달 22일 SNS에 “우리(대만)는 미국 및 한국 그리고 다른 파트너 국가들과 함께할 것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올렸다. 전날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데 대해 입장을 낸 것이다. 한국은 1992년 8월 21일 한·중 수교를 위해 대만에 “72시간 내 국기와 현판을 내리고 철수해달라”고 요청한 뒤 단교했다. 대만은 “오늘 우리는 대만 국기를 다시 내리지만 이 국기는 우리 마음속에 건다”며 한국을 떠났다.
한국으로부터 국가로 승인받지 못한 대만이 한국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한·미 정상 차원의 공동성명에서 대만이 언급된 것도 약 30년 만에 처음이었다. 앞서 올해 열린 미·일 정상회담,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회의, 미·일 외교·국방(2+2)회의 공동성명에는 모두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3월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중국은 대만의 민주주의를 저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로선 입장이 난처하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공동성명에) 중국을 적시하지 않았고 결국 그 지역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는 일반론적인 문장”이라며 직접 해명에 나선 이유다.
지난달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싱크탱크 중국양안아카데미 보고서를 인용해 “-10에서 10 사이의 범위에서 현재 대만해협의 무력충돌 위험지수는 7.21”이라고 밝혔다. 국공내전 직후(지수 6.70)보다 지금이 무력충돌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 것이다.
일본은 미국과 보조를 맞춰 급속도로 대만과 거리를 좁히고 있다. 일본 정부는 백신 접종 지연을 겪으면서도 중국산 백신을 도입하지 않고 있는 대만에 4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124만 회분을 제공했다. 중국 정부는 일본의 대만 백신 지원 결정에 대해 “내정 간섭”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달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대만 문제는 다시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이 처음으로 참여할 G7 정상회의와 두 번째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대만해협 문제가 계속 제기될 경우 중국의 반발과 보복 조치도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이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