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건 중 6건은 부동산을 매매하면서 매도자가 채권자가 돼 과도한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등 부동산 명의를 신탁한 의혹이었다. 국회의원이 본인 지역구 개발사업 관련 토지를 매입하거나 대규모 개발 계획 발표 전에 부동산을 취득하는 등 업무상 비밀을 이용한 것으로 보이는 사안도 3건이나 됐다. 이외에 농지를 자경하지 않거나 방치한 경우 등 농지법 위반 소지가 있는 의혹(6건), 건축법 위반 의혹(1건) 등도 있었다. 이 중 3기 신도시 관련 의혹은 2건이다.
권익위는 지난 4월 부동산 거래 특별조사단을 공식 출범하고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174명과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등 총 816명의 지난 7년간 부동산 거래 내역에 대해 조사했다. 김 단장은 “최근 LH 직원들의 3기 신도시 투기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려해 3기 신도시 및 인근 지역의 부동산 거래·보유 현황을 집중 조사했다”며 “법령상 원칙대로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에 해당 내용을 송부했다”고 설명했다.
권익위는 이번 발표에서 의원 이름과 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았다. 다만 민주당에서 본인 또는 가족의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의원은 김경만·김주영·서영석·양이원영·양향자·윤재갑·임종성·김한정·이규민 의원 등 9명이다. 당 안팎에선 권익위 발표 명단에 이들 의원이 포함됐을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민주당은 야당에 대한 압박에도 나섰다. 야당이 떳떳하다면 권익위에든 감사원에든 지금이라도 스스로 전수조사를 요청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준호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주호영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권익위가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 한 점 의혹 없이 밝히면 (국민의힘도 조사를) 받겠다고 했다”며 “민주당이 선제적으로 한 만큼 국민의힘도 뒤를 이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영연/고은이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