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신세계의 명품 매출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7%에서 지난달 24%까지 늘었다. 현대백화점도 같은 기간 명품 매출 비중이 19%에서 24%로 뛰었다. 2019년 명품 매출 비중이 12%였던 롯데백화점도 올해 17%까지 올랐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연매출이 2조원을 넘는 신세계 강남점 등 대형 점포에서는 ‘에·루·샤’ 등 단일 매장이 연간 500억원가량, 최대 1000억원까지 매출을 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명품 브랜드는 ‘낙수효과’도 불러온다. 프리미엄 명품 브랜드가 입점하면 해외 컨템포러리 등 고가의 다른 패션 브랜드들이 따라서 입점한다.
‘외화내빈’ 격인 면도 있다. 명품 브랜드는 일반 패션 브랜드보다 마진(수수료)이 낮다.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내패션은 백화점 마진율이 매출의 30%대다. 명품은 절반 또는 3분의 1 수준인 10%대로 알려져 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요즘 경쟁사에서 업계 평균보다 더 낮은 수수료 제안을 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며 “제로(0)마진이 나올 수 있겠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하소연했다.
유통기업 고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종식되고 면세점 등 명품에 강한 채널이 부활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