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52주 신고가 경신 종목은 총 1387개로 나타났다. 중복 종목을 제거하면 296개에 그쳤다. 올해 5월~6월 9일 신고가 종목이 2019년 대비 2.8배가량 많다. 개인투자자들이 수익을 낼 기회는 더 많았던 셈이다.
이 기간 가장 많은 52주 신고가 종목을 낸 업종은 투자 및 종금 업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67개 종목이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외에 금속 및 광물(63개), 섬유 및 의복(59개), 식료품(46개), 건설(45개), 기계(43개), 자동차부품(40개), 미디어(37개), IT서비스(29개) 순이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AA.26601145.4.jpg)
특히 최근엔 두산중공업 대한전선 등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단기간에 밀어 올렸다가 조정받는 사례가 많았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장은 “최근 시장의 관심사는 실적 추정치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이라며 “실적 장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작은 뉴스에도 시장에 크게 반응하는 순환매 장이 펼쳐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순환매에 올라탈 기회를 엿보지 말고 앞으로 실적이 개선될 기업을 발굴해 투자해야 할 시기라고 조언한다. 주가가 상승한 뒤 조정받는 기간이 갈수록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자칫 고점에서 물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올해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2%포인트 이상 개선되는 기업 비중은 40.8%에서 내년 11.2%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실적이 개선되는 기업의 희소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시가총액이 5000억원 이상이면서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상향 조정되고 올해와 2022년, 올해 하반기 영업이익 증가율이 각각 전년 대비 30%, 10%, 10% 이상인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아모레퍼시픽, 신세계, 코스맥스, 효성화학,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을 꼽았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