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의미에서 글로벌 헤지펀드의 ‘넘버원’ 종목은 투자에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해외 펀드는 삼성전자에 치중된 국내 펀드와 달리 업종별로, 회사 규모별로 여러 가지 종목을 담고 있다. 선택에 애를 먹는 투자자라면 수천 개 종목 중 엄선된 넘버원 종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AA.26697326.4.jpg)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는 월마트(WMT)를 넘버원 종목으로 편입하고 있다. 브리지워터는 2008년 금융위기를 정확히 예측해 이름을 알린 레이 달리오 최고경영자(CEO)가 이끌고 있다. 펀드 운용 규모만 1400억달러(약 159조원)에 달한다.
브리지워터는 올 1분기 월마트 51만2347주를 추가로 매수해 360만 주로 늘렸다. 회사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비중이 4.3%로 커졌다. 브리지워터는 월마트 다음으로 P&G, 코카콜라, 존슨앤드존슨을 보유하고 있다. 다우존스 종목을 선호하는 CEO의 스타일이 반영됐다.
애보트래버러토리(ABT), 애브비(ABBV), 존슨앤드존슨(JNJ) 등도 선택을 받았다. 애보트래버러토리는 운용 규모가 620억달러인 폴렌캐피털매니지먼트가 22만118주(펀드 비중 5.6%) 보유하고 있다. 애브비는 애비디티파트너스가, 존슨앤드존슨은 ACR알파인캐피털이 가지고 있다. 전체 자산에서 비중이 각 6.3%다.
애브비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자가면역 치료제인 휴미라를 개발한 업체다. 이 단일 약품으로만 작년 22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존슨앤드존슨은 타이레놀, 아큐브 등의 브랜드로 친숙한 제약·화장품 업체다. 종합 헬스케어 기업인 애보트래버러토리는 25년간 배당금을 늘린 배당 귀족주로 유명하다.
마스터카드(MA), 알리바바(BABA)도 펀드별 비중이 21~23%에 달했다. 밸리포지캐피털은 마스터카드를 22.6% 비중으로 보유하고 있는데, 올 1분기에만 비중을 두 배 가까이 늘렸다. 코니퍼매니지먼트는 1분기 알리바바 보유 주식을 147% 늘려 비중을 20.7%로 확대했다.
이들 외에도 많은 종목이 큰손들의 선택을 받았다. 테크 분야에서는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반도체), 자일링스(반도체), 앱티브(자율주행) 등이 꼽혔다. 유나이티드헬스케어(보험), S&P글로벌(금융), 게이밍앤드레저프로퍼티스(부동산), 디알호튼(부동산), 아마존,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도 목록에 들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