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박지용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가 쓴 ‘승차 공유의 성폭행 억제 효과 및 우발적 상황 조사’ 논문이 최근 세계적인 학술저널 인포메이션시스템리서치에 게재됐다. 연구는 방민석 미국 템플대 교수, 김준태 국립암센터 교수, 이병태 KAIST 교수가 함께했다.
연구진은 2005~2017년 인구 10만 명 이상 미국 주요 도시 377개를 대상으로 우버 서비스 개시 이후 성폭행 범죄 발생 건수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버의 진입이 도시 내 성폭행 사건을 6.3% 감소시킨 것으로 집계됐다. 우버 픽업이 1% 늘면 성폭행 발생이 약 3% 줄었다는 게 이 논문의 결론이다. 이는 미국 뉴욕시의 성폭행 건수를 1년에 44~48건 줄이는 수준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논문에서 “우버 도입으로 인한 성폭행 감소 효과는 대중교통 인프라가 열악하고 택시가 적은 도시일수록 크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승차 공유 서비스가 시민의 교통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선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타기 위해 오랜 시간 걸어가거나 도로에 서 있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과정에서 혼자 있는 여성 등은 성범죄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하지만 승차 공유 서비스는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도 제때 적절한 교통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성범죄 대상이 될 위험을 줄여준다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과거 미국 보스턴, 호주 멜버른 등 일부 지역에서 우버 운전기사가 승객을 성폭행한 사건이 발생해 승차 공유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일었다. 하지만 우버 도입 지역 전체를 놓고 보면 승차 공유는 성범죄 억제 효과가 더 크다는 게 논문의 결론이다. 논문 공저자인 이병태 교수는 “혁신 서비스를 거부한 데 따른 피해는 소비자에게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