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01.26722408.1.jpg)
17세기 불교조각 걸작이자 보물로 지정된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이 국보로 승격됐다.
문화재청은 23일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한다고 발표했다.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유일한 삼신불(三身佛)이다.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로 구성돼 있다. 세 불상 모두 높이가 3m를 넘는다.
이 조각들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탄 화엄사를 재건하면서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최근 발견된 기록에는 1634∼1635년에 17세기 대표 조각승으로 꼽히는 청헌·응원·인균이 제자들과 함께 만들었다고 적혀 있다. 임진왜란으로 피해를 본 사찰의 중창을 주도한 승려인 벽암 각성이 불상 제작을 주관했고, 선조의 여덟째 아들인 의창군 이광 부부와 선조 사위 신익성 부부 등 왕실 인물과 승려를 포함해 1320명이 시주자로 참여했다.
미술사학적으로 보면 조각은 거대하고 중후한 아름다움을 뿜어낸다는 평가다. 강약이 느껴지는 굵직한 옷 주름 표현 등이 대표적이다. 근엄한 표정의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은 조각승 집단인 청헌파가 제작한 것으로, 부드러운 얼굴에 작은 눈과 두툼한 눈두덩이가 특색인 노사나불은 응원파와 인균파 작품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17세기 제작된 목조불상 중 가장 크고, 유일한 삼신불 조각이라는 점에서 불교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작품"이라며 "예술적 수준도 높아 국보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이날 '울진 불영사 불연'과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안동권씨 문순공파 종중이 소유한 '송시열 초상' 등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불교 목공예품인 불연(佛輦) 중 처음으로 보물로 지정된 울진 불영사 불연은 2기의 불교 의례용 가마다. 1670년 화원(畵員, 도화서에 딸린 직업화가)으로 짐작되는 광현·성열·덕진이 참여해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단아한 균형미를 갖췄고, 조각 솜씨가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ZA.26191653.1.jpg)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은 1656년 제작됐으며, 당시 제작된 나한상 중 규모와 수량 면에서 돋보이는 작품이다. 송시열 초상은 그의 74세 때 모습을 그린 18세기 작품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