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6/AA.26727346.4.jpg)
23일 미래에셋증권 계좌에 1000만원 이상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 71만5772명의 최근 1년(5월 말 기준) 수익률은 24.6%로 집계됐다. 국내주식, 해외주식, 펀드,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이 포함된 수치다.
이 가운데 슈퍼리치와 일반 투자자들의 수익률 격차는 극명했다. 100억원 이상 자산가는 지난 1년 48.9%의 수익을 기록했다. 1000만~1억원 사이 고객들의 수익률은 그 절반인 23.8%에 그쳤다.
주식 열풍이 본격화한 작년 5월을 시작점으로 봤을 때 포트폴리오에서 큰 차이가 났다. 당시 슈퍼리치들의 포트폴리오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67%에 달했다. 3000만~1억원(52%), 1억~10억원(59%) 투자자들보다 높았다. 소액 투자자들이 공격적으로 주식에 달려들었을 것이란 예상과는 달랐다. 해외주식 비중도 수익률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슈퍼리치들은 작년 5월 전체 자산의 13%가량을 해외주식에 분산시켜놨다. 1억원 미만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서 해외주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밑돌던 때였다.
슈퍼리치들은 지난 1년 동안 주식 비중을 67%에서 75%까지 늘렸다. 대신 펀드와 채권, 파생상품 비중을 줄였다. 증권사에 투자를 맡기는 랩어카운트 비중은 종전 수준을 유지했다. 1000만~1억원 사이 투자자들도 같은 기간 주식 비중을 48.6%에서 60.4%까지 늘렸다.
300억원대 자산가인 60대 A씨는 미국의 대표적인 성장주와 성장산업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비중을 늘려 지난 1년간 35%의 수익을 냈다.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한 보수적인 포트폴리오로도 30%가 넘는 성과를 냈다.
지난달 금리 인상 조짐에 성장주가 잠시 흔들렸지만 A씨를 비롯해 고액 투자자들은 대부분 동요하지 않았다. 장기 투자를 위해 우량 종목들을 택했기 때문이다.
올초 주당 34만원대에 네이버를 매수한 투자자 B씨는 지난달 성장주가 조정을 받으며 흔들리자 이를 추가 매수 기회로 삼았다. 단기간에 많이 오른 경기민감주를 정리하고 네이버를 더 샀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고액 자산가들은 오래 함께 갈 우량 성장주를 택해 조정을 위기가 아니라 기회로 보는 경우가 많다”며 “단기적으로 주가가 기대치를 밑돌아도 경험을 통해 손절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