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마냥 반길 상황이 아닌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전파력, 변이성 등이 이전보다 월등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 데다, 정확한 정체조차 파악할 수 없는 ‘델타 플러스 변이’까지 출현해 전 세계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어서다. 델타 변이 확진자 급증에 백신접종 선도국인 이스라엘이 실내 마스크 착용을 다시 의무화했고, 영국도 방역완화 일정을 연기할 움직임이다. 미국도 최근 델타 변이가 2주 새 두 배나 늘어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델타 변이 검출률(전체 확진자 중 델타 변이 감염자 비중)이 1.9%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언제, 어떤 경로로 상황이 악화될지 모른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델타 변이 확산에다 거리두기 완화, 2학기 전면 등교가 겹쳐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그렇다고 통제 위주의 현행 방역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강화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정부가 ‘K방역’을 정권의 성과처럼 내세우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던 게 사실이다. 개인의 자유를 극단적으로 억압하는 검사, 추적, 격리방식은 차치하더라도, 자영업 영업규제로 지난해부터 수십조원을 쓰고도 손실 보상 논란이 여전하다.
결국 지금과 같은 통제 위주 방역체계가 답이 아니라면 대안은 두 가지일 수밖에 없다. 국민은 완화된 거리두기 체계에서도 마스크 쓰기와 손씻기, 거리두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그러나 국민의 자율적인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코로나 사태를 바꿀 ‘게임 체인저’는 엄격한 방역규제가 아니라 백신이라는 게 그간 코로나 극복 과정에서 입증됐다. 따라서 정부는 백신 확보와 접종에 한 치 차질이 없도록 방역역량을 집중하고,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한 투자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마침 내달 3일 민주노총의 대규모 집회가 예고돼 있다. 누가 집회를 주최하고, 어떤 이유로 모이느냐를 떠나 이런 행사가 코로나 재확산의 단초가 되지 않도록 사전에 철저히 관리해야 함은 물론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