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 공장가동률과 자금사정이 상반기보다 더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하반기 채용계획이 없다"고 했고, 10곳 중 6곳은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이 경영에 도움이 안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6월 18일부터 29일까지 912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업종별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1 하반기 경기전망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4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대비 하반기 매출에 대해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45.7%로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10.6%)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매출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서비스업’, ‘소기업’, ‘종사자수 10명 미만’, ‘매출액 10억 미만’ 등 계층에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 하반기 영업이익도 상반기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31.1%로 호전 전망(17.8%)보다 1.7배 높게 나타났다. 공장가동률 역시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26%)이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11%)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자금사정도 상반기 대비 하반기가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28.7%로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15.8%)보다 1.8배 높게 나왔다. 재고는 '과잉'이라는 응답이 13.9%로 "부족하다"는 답변(8.0%)보다 높았다. 생산 대비 판매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어 향후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대기업 제조업체 재고가 전년 동월 대비 6.3%감소한 것과 달리 중소 제조업체 재고는 2.8% 증가해 2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2021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경기가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은 30.5%로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19.1%)보다 높았다. 하반기 경기가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수도권’, ‘제조업’, ‘소기업’, ‘종사자수 10명 미만’, ‘매출액 10억 미만’ 등 계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하반기 인력 운용 계획에 대해 "채용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74.5%로 나타났고 "채용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23.6%, "인력을 감축할 것"이라는 답변은 1.9%를 차지했다.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업체들의 평균 채용인원은 3.5명으로, ‘중기업’, ‘종사자수 50명 이상’, ‘매출액 200억 이상’인 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예상되는 애로요인에 대해 물은 결과, ‘내수부진(경기침체)’이 51.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43.8%)’, ‘자금조달 곤란’(20.1%), ‘주 52시간제 확대’(20.1%), ‘인력부족(1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 물은 결과, ‘소득세·법인세 등 세금인하 및 각종 부담금 인하’라는 응답이 68.9%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금융 지원(대출금리 우대, 대출 자격 완화)’(46.3%), ‘근로시간 유연성 제고’(2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의 경영 도움 정도에 대해선 "도움 안됨’이 전체의 절반이상(58.9%)으로 조사됐다.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16.0%에 그쳤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반기별로 비교해보면 악화 응답이 다소 줄고, 호전이 다소 늘어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가 91.6으로 상반기 77.6보다도 14.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의료용물질및의약품(114.3) △식료품(107.1) △음료(107.1) 등 업종이 개선을 전망한 반면 △가구(61.9) △종이 및 종이제품(71.4) △가죽 가방 및 신발(76.2) 등 업종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업은 △출판,영상,방송 통신 및 정보서비스업(112.2)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106.7) △부동산업 및 임대업(100.0) 등이 호전을 예상한 반면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74.4) △운수업(77.8) △교육서비스업(80.0) △도매및소매업(86.7) 등은 악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최근 중소기업을 힘들게 하는 원자재 가격 급등, 인력난, 물류대란 등 3중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