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농촌과 중소도시에 폐교 위기에 놓인 작은 학교가 1000개 이상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1면 1개교를 유지한다는 게 국가의 교육정책이었지만 지켜지지 않은 지 오래다. 도·농균형발전은 예산만 쏟아붓는다고 될 일이 아니다.
다행히 우리 농촌에서 함께하는 작은 학교의 성공 사례가 나오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를 농촌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학부모 주택 제공 및 일자리 알선 △학생 특성화 교육 △전교생 해외연수 및 장학금 수여 △학부모를 위한 문화, 의료, 복지 분야 원스톱 서비스 구축 등이 지방자치단체의 협조와 민간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그 결과 서울 등 대도시에서 학생들의 지원이 늘고 출산으로까지 이어져 마을이 살아나기 시작했다. 적절한 조건이 주어지면 도시로부터 농촌으로의 전입 수요가 폭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지역교육공동체’라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 폐교 위기의 작은 학교들이 연합해 교육프로그램도 같이 개발하고 상호 교환방문도 하고 있다.
교육뿐만 아니라 주거, 일자리, 문화, 경제, 귀농·귀촌 등 분야에서 협력 구조를 구축해 농촌학교를 희망의 공간으로 함께 만들자는 데 뜻을 모은 것이다. 농촌을 교육에서 소외된 지역으로 내버려 둘 것이 아니라 교육 보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하고 지원해야 한다.
정석윤 <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