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29504.1.jpg)
내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9160원으로 결정됐다. 문재인 정부에서 정해진 마지막 최저임금이다. 인상률은 5.1%다. 지난해 인상률 1.5%의 3배를 크게 웃돈다. 경영계는 “코로나19가 할퀴고 간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상황을 감안해 달라”며 동결 또는 소폭 인상을 호소했지만, 최저임금위원회는 외면했다. 현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률은 5년간 42%에 이르러 같은 기간 소득(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 증가율 10%의 4배를 웃돌게 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대변하는 근로자위원 4명이 수용할 수 없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섰다. 대통령 공약이 1만원인 만큼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공익위원들은 최저임금 최종안으로 9160원을 제시했다. 이를 본 사용자위원 9명이 전원 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벼랑 끝 소상공인과 영세 중소기업 현실을 무시한 모습에 충격을 금할 수 없고, 향후 파생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이기적인 노동계와 동조한 공익위원에 있다”고 성토했다. 하지만 공익위원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위원들과 함께 표결을 진행했다. 이렇게 내년 최저임금은 9160원으로 결정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30412.1.jpg)
공익위원들이 이 같은 경영계 요구를 묵살한 이유 중 하나는 ‘문 대통령 체면 살려주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최저임금 1만원을 공약으로 내건 만큼 1만원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 9000원은 넘겨야 하지 않겠느냐는 그런 분위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내년 5.1% 인상과 함께 현 정부 내 최저임금 인상률은 41.6%로 결론났다. 올해 성장률 4%까지 감안했을 때 국민소득이 10% 남짓 증가하는 것과 비교하면 4배에 이른다. 이는 최근 어느 정부 때보다도 높은 괴리율이다. 박근혜 정부 때는 소득 증가율이 18.5%, 최저임금 증가율이 33.1%로 2배에 채 미치지 못한다.
박준식 위원장의 ‘당부’도 논란을 빚고 있다. 박 위원장은 13일 새벽 최저임금 결정 후 언론 브리핑에서 “최저임금 인상률을 5.1%로 통일해 달라”고 했다. 내년 인상폭 440원은 올해 최저임금 8720원과 비교하면 5.045% 높아지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고 이 결과를 놓고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다시 반올림해 적어달라는 얘기와 같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 같은 인상률을 놓고 5.05% 인상이라고 표현했다. 한국노총은 최저임금 결정 직후 기자회견에서 인상률을 5.04%라고 했다.
일각에선 위원회가 노동계 눈치를 보며 상승률을 부풀리려는 꼼수를 부린 것이란 비판을 내놓고 있다. 또 숫자를 이미 정해놓고 끼워 맞추기를 한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