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채권전문가 100명 중 89명이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행 0.5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달보다 9명 줄어든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인상을 시사할 것이라는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한 응답은 2%에서 11%로 늘었다.
이는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주열 총재는 6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통위 내부에서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5월 금통위에 따르면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 금통위원은 "완화적 금융 여건이 지속될 경우 단기적 부양 효과보다는 중장기 측면에서 부채 증가에 의한 소비 제약과 자원 배분의 효율성 저하가 심화돼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커질 것"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다소 조정해나가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금통위원도 "경제 회복세는 강화되지만 금융 안정 측면의 리스크는 확대되고 있다"며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대응해 이례적 수준으로 완화했던 통화정책 기조의 일부 조정을 검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균형을 이유로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최대 2000명대에 달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실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현 추세라면 확진자는 8월 전 평균 1400명, 두달 뒤 일평균 최대 2000명의 확진자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면서 이번 금통위에선 만장일치 동결이 나올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급격히 번진 코로나에 소수의견 가능성도 낮고, 매파적 스탠스를 드러내기도 어려울 전망"이라며 "한국은행이 금융 안정에 방점을 찍고 정책 정상화를 언급했어도 지금은 한은이 예상했던 코로나19 시나리오 중 부정적인 국면보다 더 안 좋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코로나 4차 유행이 시작되면서 7월 금통위에서 두 명의 금리인상 소수의견 가능성은 사라졌다는 판단"이라며 "만장일치 동결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기자간담회에서도 이주열 총재가 매파적(통화긴축 신호) 입장을 나타내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분기 회복속도는 한국은행 예상보다 빨랐을 것이나, 7월 이후 수도권 중심의 팬데믹 재확산으로 서비스업 전망이 매우 불투명했다"며 "이번 금통위에선 경기판단이 개선되기 보다는 5월에 견지했던 스탠스 유지에 무게가 실린다"고 예상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