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76564.1.jpg)
전통적 부동산 비수기인 7~8월 여름 휴가 기간에 지방에서 큰 분양 장이 선다. 부산 대전 등 광역시 1만6035가구를 포함해 총 4만2550가구(총 가구 기준)가 공급된다. 일반분양으로 나오는 물량만 3만3221가구에 달한다. 대구 등 일부 광역시는 공급과잉 우려가 있는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우려가 커진 만큼 ‘묻지마 청약’을 지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광역시 중 공급 규모가 가장 많은 곳은 대구다. 이달 말부터 다음달까지 ‘서대구역 센텀 화성파크드림’을 비롯해 총 11개 단지, 총 5736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화성산업이 서구 평리재정비촉진지구 내에 이달 공급하는 서대구역 센텀 화성파크드림은 총 1404가구로 이뤄진다. 지하 3층~지상 34층에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용면적 59~99㎡로 구성돼 있다. 일반분양분은 933가구다. 서구지역 최대 개발 호재인 ‘서대구역세권 개발계획’이 발표됐고, 연말 서대구 고속철도역 개통이 예정돼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76557.1.jpg)
광주에선 6개 단지가, 대전 5개, 부산 4개, 울산 2개 단지가 각각 여름 분양에 나선다. 호반건설이 대전 유성구 용산지구 2·4블록에 공급하는 ‘호반써밋 그랜드파크’는 대전 첫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다. 지하 3층~지상 35층, 14개 동, 총 1791가구(전용 59·84㎡)로 이뤄진다. 각종 세금 부담 없이 최장 10년 거주가 가능하다.
부산 부산진구 73의 7 일원을 재개발하는 양정1구역은 다음달 분양된다. 총 2276가구 중 1160가구를 일반분양으로 내놓는다. 부산 지하철 1호선 양정역이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양동초, 양정초, 양동여중, 양동고 등 학군이 좋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700920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81211.1.jpg)
비광역시에선 충남(10개) 경북(9개) 경남(5개) 충북(5개) 순으로 분양이 많다. 포스코건설이 충북 청주시 복대동에 공급하는 ‘더샵 청주센트럴’은 지하 2층~지상 최고 25층 11개 동, 총 986가구 규모다. 74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단지 바로 앞에 SK하이닉스, LG전자 등이 입주한 청주일반산업단지가 있어 직주근접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충남 홍성에 들어서는 첫 자이 아파트인 ‘홍성자이’는 지하 1층~지상 27층 6개 동 483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별로 84㎡A 119가구, 84㎡B 200가구, 84㎡C 158가구, 128㎡(복층형 펜트하우스) 6가구다. 도보권에 장항선 홍성역이 있다. 홍성역에는 송산역(경기 화성)을 잇는 서해선 복선전철이 내년 10월 개통할 예정이다. 수도권으로 1시간 내 이동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와 부산의 외곽 지역에서 미계약 단지가 늘어나는 등 최근 입지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이달 시작되는 3기 신도시 사전청약도 지방에는 악재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7월 분양경기실사지수(HSSI)에 따르면 부산(91.3) 울산(94.1) 대구(89.2)는 분양 기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가 100을 넘으면 분양 경기가 긍정적, 100을 넘지 못하면 그 반대의 의미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전국적으로 분양물량이 쏟아지며 앞으로 나올 좋은 분양을 기다리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지방에선 공급과잉 지역, 입지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