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쓰기 시작한 고객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컴퓨터에서 쓰는 HTS를 그대로 모바일로 옮겨왔다. 나무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사용자경험(UX)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뒀다. 정 사장은 “우리는 공급자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기로 했다”며 “우리가 보여주고 싶은 것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고객이 보고 싶은 것, 그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을 선별해 보여주는 것을 원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계좌도 쉽게 개설할 수 있도록 했다. 계좌 개설을 시도한 고객이 계좌를 트는 데 성공하는 비율을 40%에서 75%로 끌어올렸다. 쌓인 데이터로 고객의 투자를 돕는 기능도 추가했다. 수익률이 좋은 상위 5% 고객이 어떤 종목을 사고파는지 알려주는 ‘투자고수의 선택’이 대표적이다.
‘나이트홈’ 기능도 넣었다. 오후 6시가 되면 홈 화면이 저절로 어두워지면서 해외(미국) 주식 중심으로 바뀐다. 올해 해외 주식 거래 고객은 전년 동기 대비 625% 증가했다.
최근에는 케이뱅크 앱을 통해 NH투자증권 계좌를 처음으로 개설하는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케이뱅크 주식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NH투자증권은 케이뱅크 주요 주주다. 양사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케이뱅크 주식 300만 주 이상을 제공한다.
정 사장은 이를 ‘플랫폼 동맹’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2030세대는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결제·은행 플랫폼에는 이미 익숙하지만, 주식 플랫폼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기존 플랫폼 은행 고객을 자연스럽게 주식 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 은행으로서도 ‘윈윈’이다. 케이뱅크 이용자가 이벤트를 통해 케이뱅크 주주가 되고, 주주가 된 고객은 회사가 잘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NH투자증권은 2030세대 비중이 높은 암호화폐거래소 플랫폼과 연계해 이들의 고객을 나무로 끌어들이는 전략도 고민하고 있다.
이미 올해 상반기에만 총 157만 명의 고객이 나무에서 신규 계좌를 개설했다. 나무 앱의 월간 사용자(MAU)는 연초 대비 43% 증가한 220만 명에 이른다. 국내 브로커리지 부문 부동의 1위인 키움증권 영웅문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WM사업부 순영업수익 중 디지털사업부가 벌어들인 금액은 40%에 달한다.
베이비부머 세대 고객을 기존 고객으로 사로잡고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MZ세대에 대한 마케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는 것이다.
브랜드 컨셉트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팝업 스토어도 운영했다. 2019년엔 음식과 투자를 결부시킨 ‘제철 식당’을, 지난해에는 개인 취향과 투자를 연결 지은 ‘문화 다방’을 운영했다. 올해는 ‘NH슈퍼스톡마켓’을 통해 주식 종목을 슈퍼마켓에서 쇼핑하듯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체험 마케팅을 진행했다.
많은 금융 플랫폼의 목표는 결국 고객들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 사장은 “증권사가 팔고 싶은 걸 파는 플랫폼이 아니라 고객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이들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산 관리 플랫폼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