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사 사건을 두 달 만에 강제 수사로 전환한 만큼 상당한 증거 자료를 확보해 장 대표를 정조준한 것 아니냐는 게 금융투자 업계의 관측이다. 경찰은 판매사 압수수색을 통해 디스커버리운용이 손실 위험성을 알면서도 가입자들에게 이를 제대로 고지했는지, 알면서도 부실 운용을 한 것은 아닌지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그해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 펀드를 운용하던 다이렉트랜딩인베스트먼트(DLI)가 펀드 운용 과정에서 수익률 등을 허위 보고한 사실을 적발하고 자산을 동결하면서 벌어진 일이었다. 이듬해엔 미국 부동산대출채권에 투자하던 펀드에서 900억원 안팎의 환매 중단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디스커버리펀드 부실화로 국내 투자자가 입은 피해는 올 4월 말 기준 2562억원(미상환액)에 달한다. 기업은행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를 3612억원,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3180억원어치 판매했다. 그러나 미국 운용사가 펀드 자금으로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각각 695억원, 219억원어치가 환매 지연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의 경우 환매 지연액 기준으로 240억원어치의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를 판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은행이 판매한 부동산대출채권펀드 650억원어치도 환매가 중단됐다. 이들 펀드는 판매 당시 장 대표의 형인 장하성 주중 대사의 명성을 빌려 ‘장하성 펀드’로 유명해졌다.
회사 설립 이듬해인 2017년 상반기만 해도 수탁액이 500억원 수준에 머물렀던 디스커버리펀드는 장 대사의 청와대 근무 시기(2017년 5월~2018년 11월)에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졌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 측은 “장 대사가 정책실장으로 부임하기 전인 2017년 4월부터 상품을 판매해왔다”고 해명한 바 있다.
전국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 관계자는 “당시 판매사 프라이빗뱅커(PB)들은 모두 ‘장하성 동생이 운용하는 펀드’라고 안정성을 강조하며 영업했다”고 주장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