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이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발표를 앞두고 노사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HMM 노조가 7월 4차 임금인상 협상이 무산될 경우 파업에 나서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HMM 노조가 파업을 강행하면 수출물류 차질 등 산업 전반의 연쇄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제 해운동맹인 ‘디얼라이언스’에서 HMM이 퇴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사실상 의사 결정권을 갖고 있는 산업은행이 노조 측 요구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산은은 HMM에 수조원의 공적 자금이 투입됐기 때문에 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재무구조 악화에 빠진 HMM은 2018년 10월부터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공동관리를 받고 있다. 산은은 HMM 주채권은행이면서, 24.9%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HMM 노조는 인력 이탈을 막기 위해서라도 임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사측을 설득하고 있다. 작년부터 이달까지 141명의 직원이 퇴사했고, 이 중 해상직원이 99명에 달한다. 전체 해상 인력의 20%가 넘는 수치다. MSC 등 글로벌 선사들은 HMM의 1.5~2.5배 급여를 제시하며 선원 영입에 적극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와중에 HMM 노조가 파업에 나서는 것은 그동안의 정부 지원을 감안할 때 지나친 ‘벼랑 끝 전술’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와 산은은 한진해운이 2017년 법정관리 절차를 거쳐 파산한 이후 유일한 국적 원양 선사인 HMM의 시장 퇴출을 막기 위해 3조8000억원에 달하는 공적 자금을 투입했다. 또 ‘해운 재건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초대형 친환경 선박 20척을 발주해 HMM 영업력 회복의 초석을 놨다.
2015년 1분기부터 2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던 HMM은 이 같은 지원을 발판 삼아 작년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 1분기 1조193억원의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냈고, 2분기엔 시장 예상치를 대폭 웃돈 1조5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HMM이 파업에 나서면 글로벌 해운동맹인 디얼라이언스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HMM은 지난해 4월 일본의 원(ONE), 독일 하파그로이드, 대만 양밍해운으로 구성된 세계 3대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에 가입하면서 글로벌 해운시장에 재등판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파업 시 디얼라이언스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며 “디얼라이언스 탈퇴는 HMM의 시장 퇴출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지훈/남정민/김소현 기자 liz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