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7091592.1.jpg)
정부가 30일 내놓은 ‘18~49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계획’의 핵심은 △8월 9~21일에 예약하면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으로 △8월 26일~9월 30일에 1차 접종한다는 내용으로 요약된다. 9월까지 이들 연령의 1차 접종을 끝내 ‘11월 집단면역 형성’ 목표를 달성한다는 게 정부 목표다.
변수는 들쭉날쭉한 확보 백신 물량이다. 모더나가 8월에 1046만 회분을 공급하기로 해 당장 숨통은 트였지만, 자체 생산시설 없이 외부 업체에 생산을 맡기는 모더나의 특성상 언제든 공급 차질 이슈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7092798.4.jpg)
8월 26일부터 백신을 맞는 18~49세(1972∼2003년생) 인구는 2406만 명이다. 이 중 이미 백신을 맞은 사회필수인력,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 등 629만 명을 뺀 1777만 명(△40대 638만 명 △30대 519만 명 △18~29세 619만 명)이 8~9월 접종 리스트에 올랐다.
여기에 지난 28일까지 1차 접종을 마친 1873만 명을 더하면 3650만 명이 된다. 9월까지 18~49세 접종 대상자가 모두 맞으면 전 국민의 70%(약 3600만 명)가 1차 접종을 마치게 된다. 여기에 60세 이상 미접종자 등이 추가로 맞으면 18~49세 중 일부가 이탈해도 11월 집단면역 달성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들은 8월 9~21일에 각자 백신을 맞을 장소와 시간을 선택하면 된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계열인 화이자나 모더나가 배정된다. 어떤 백신을 맞을지는 제품별 수급 상황을 감안해 접종 1주일 전에 통보된다.
정부는 이들 중 음식점 카페 노래방 등 감염 위험이 높은 시설에서 일하거나 장애인과 외국인 근로자 등 접종 소외계층, 대중교통·택배근로자·환경미화원 등 필수업무 종사자, 학원교사 등 아동·청소년 밀접 접촉자 등 200만 명에게 접종 우선권을 주기로 했다. 이들의 예약 기간은 8월 3~6일이며, 접종 기간은 8월 17일~9월 11일이다.
방역수칙을 지키기 힘든 발달장애인과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높은 심장·간 관련 장애인, 집단생활로 인해 감염 위험이 높은 직업재활시설 이용자 등 29만6000명도 우선 접종 대상에 포함됐다. 또 다른 우선 접종 대상인 선원과 노숙인은 2차 접종 일정을 잡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1회로 완료되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8~9월 접종자에 대한 2차 접종은 11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2차 접종 시점은 1차 접종 4주 뒤며, AZ는 8주 뒤다. 2차 접종에는 1차 접종 때와 같은 백신을 쓴다. 다만 AZ로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은 2차 접종 때 화이자 백신으로 교차 접종한다. 8~9월에 AZ로 2차 접종하는 사람은 768만5000명, 화이자로 교차 접종하는 사람은 66만7000명이다.
백신 유효기간을 늘리기 위한 부스터샷(추가 접종)은 4분기부터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첫 대상자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고령층과 요양병원 입원자,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등 바이러스벡터 방식 백신 접종자다. 정은경 코로나19예방접종추진단장(질병관리청장)은 “(소아·청소년과 임신부는) 접종 대상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4분기에 충분히 접종 가능하다”며 “부스터샷도 4분기 접종 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상헌/이선아 기자 ohyea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