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에서 5년째 당구장을 운영하던 김모 사장은 지난 5월 사업을 접고 실업자 생활을 하고 있다. 작년 8월 말부터 9개월 이상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 영업 제한 탓이다. 그는 “전체 매출의 70%가 나오는 심야 영업을 할 수 없어 임차료가 수개월째 밀렸고 결국 가게를 정리했다”고 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기침체가 본격화한 지 1년여 만에 소상공인·자영업 점포 45만 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이 30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전국 17개 시·도 상가업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2분기 전국 상가 점포는 222만900개로 집계됐다. 상가 점포는 지난해 1분기 267만3766개에서 1년3개월 새 45만2866개가 줄었다. 하루평균 약 995개의 점포가 문을 닫은 셈이다.
학원, 독서실 등 학문·교육 업종도 6만759개(-28.9%) 줄며 두 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슈퍼마켓, 의류점 등이 속한 소매 업종(-19만4635개, -21.7%)을 비롯해 미용실, 예식장 등 생활서비스 업종(-6만8055개, -15.6%)도 비교적 많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인천의 소상공인·자영업 점포가 작년 1분기에서 올해 2분기 3만7797개(-27%)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울산(-25.8%) 대전(-24.8%) 광주(-21.8%) 대구(-20.7%) 경기(-20.3%) 등도 상가 점포 다섯 개 중 한 개 이상이 1년3개월 새 문을 닫았다. 부산(-15.1%) 충북(-13.4%) 전북(-12.8%) 전남(-12.0%) 경북(-11.0%) 경남(-10.9%) 등도 점포 감소율이 10%를 웃돌았다.
분기별로 감소폭이 가장 컸던 건 올해 1분기였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을 맞아 작년 4분기 대비 상가 점포 18만2255개가 감소했다. 매일 약 2000개의 점포가 폐업했다.
자영업자의 빚도 코로나19 사태를 지나면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중소기업 개인사업자(자영업자) 대출은 지난 5월 처음으로 4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달에는 405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1년6개월 전인 2019년 12월에 비해 66조9000억원 늘었다. 인건비·임차료 등 고정비 지출조차 메꿀 수 없어 대출에 의존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 4차 대유행과 함께 수도권에선 사상 초유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됐고, 비수도권에선 거리두기 3단계를 시행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계의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오는 9월 말 예정된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납입 유예’ 종료 시한이 다가오는 것도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또다시 수많은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절망감에 빠진 상황”이라며 “시장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대출만기 추가 연장 등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정책 배려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