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주요 제조업체의 상반기 실적과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를 토대로 집계한 결과 연간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는 ‘1조 클럽’ 제조업체는 지난해 11곳에서 올해 역대 최대인 29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금융·정보기술(IT)·공기업과 지주사 등은 제외한 수치다.
창사 이후 최초로 1조 클럽 가입이 유력한 기업만 8곳이다. 석유화학업종에서 코로나19 특수를 누리고 있는 금호석유화학 한화솔루션 효성티앤씨가 이름을 올렸다. 전기자동차 배터리에서 흑자 기반을 다진 삼성SDI와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의 강자 LG이노텍, 글로벌 수요 회복에 힘입은 HMM과 현대글로비스, 고려아연도 영업이익 1조 시대를 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으로 1조 클럽에서 탈락했던 기업도 대거 명예회복에 성공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4대 정유사를 비롯해 삼성전기 삼성물산 LG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두산중공업 현대제철 등 10개 기업이 올해 1조 클럽 복귀가 유력시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전자 기아 포스코 등 1조 클럽 단골 기업 11곳은 올해도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1조 클럽 업체는 지난해와 비슷한 12곳이었다. 단순히 글로벌 특수나 슈퍼사이클로는 한국 제조업의 질주를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선제적 투자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과감한 구조조정 등을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코로나 시대 변화에 맞춘 금호석화의 NB라텍스·효성티앤씨의 스판덱스 증설, 중국의 LCD 저가 공세에도 꾸준히 OLED 투자를 단행한 LG디스플레이 등이 대표적이다. 코로나 쇼크로 ‘제조업 위기론’이 불거지는 와중에도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미래 시장 선점에 나서는 등 한국 기업 특유의 기민함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경제계 관계자는 “위기일수록 과감한 투자를 통해 배터리, 신소재 분야를 신성장 산업으로 키우고 사업구조를 개선한 것이 위기에 빛을 발했다”고 평가했다.
황정환/남정민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