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7112691.1.jpg)
이를 위해 인천시는 올해부터 사업비 약 10억원을 투입해 행정 절차와 외부 용역 과정을 거쳐 공업지역 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시 관할 공업지역의 인구, 건축물, 토지이용 등 현황과 기반시설 활용 실태를 조사한다.
그동안 인천의 공업지역은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인해 산업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주거지역과 혼재돼 산업공간이 잠식되는 등 체계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시는 기본계획을 수립해 일부 공업지대를 산업정비구역으로 지정하고 주차장 확대와 문화시설 유치 등 기반시설 정비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혁신구역은 토지이용 범위를 확대시켜 첨단기업을 유치하고, 특성화 산업을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 분야가 다양한 각 공업지역을 계획적으로 관리하고, 재정지원으로 특성화 사업개발을 추진해 거점 클러스터로 만들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인천에는 국가·일반산단(21.84㎢), 인천항과 경인항(8.98㎢), 일반 공업지역(36.53㎢) 등을 포함한 총면적 67.35㎢의 공업지역이 있다. 인천시의 전체 면적은 1065.23㎢다.
이원주 시 시설계획과장은 “원도심에 있는 공업지역을 산업정비나 혁신구역으로 적극 지정해 지역 균형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