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7112397.1.jpg)
4세대 실손보험은 당초 과잉 진료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일부 가입자의 ‘의료 쇼핑’ 등 과잉 진료로 인해 전체 가입자의 보험료가 상승하는 악순환을 막고, 높아진 보험사의 손해율도 낮추자는 취지다. 실손보험은 2016년 이후 5년간 연속 적자를 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실손보험에서만 2조5000억원가량의 손실이 발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7119699.1.jpg)
그러나 실제 4세대로 갈아타는 소비자는 많지 않다는 게 업계 얘기다. 이미 국민 3900만여 명이 가입한 상품인 데다 갈아탈 때 이점이 두드러지지 않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한 30대 보험 가입자는 “지금까지 병원에 자주 가지 않아 보험료를 아낄 겸 4세대로 갈아탈지 고민했었는데 상담을 받고 생각을 바꿨다”며 “자기부담금을 감안하면 3세대 실손 유지가 오히려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보험사들도 4세대 실손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일부 보험사는 최근 2년 사이 받은 보험금 수령액을 따져 가입을 제한하거나, 1년 내 건강검진 기록을 검토하는 등 심사를 강화했다. 생명보험사는 대부분 4세대 실손 판매 자체를 포기한 상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기존 상품의 손실이 워낙 크다 보니 신규 가입자들은 점점 더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대부분 다른 상품과 연계하거나 묶어서 판매하는 식으로 ‘조용한 영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