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ZA.27062645.1.jpg)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도 한류 관련 수출액이 전년 대비 9%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 콘텐츠 소비가 늘면서 게임·드라마·예능 등의 수출이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한 덕분이다. 하지만 상위권 콘텐츠의 인기 편중과 순위 고착화, 순위권 내 새로운 스타와 콘텐츠의 부재 등은 문제로 지적됐다.
K팝 인기, BTS·블랙핑크가 견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1 글로벌 한류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류 관련 총수출액은 101억7500만달러로 전년 대비 8.8% 늘었다.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 수출액은 65억 5400만 달러를 기록해 10.8% 늘었고 소비재 수출은 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K팝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 중단으로 음악산업 성장은 주춤했지만, 비대면 콘텐츠 소비 보편화와 글로벌 OTT 유통망 확산으로 게임과 영상콘텐츠 분야가 크게 성장했다는 설명이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25404.1.png)
지난해 K팝의 인기는 BTS와 블랙핑크가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한류 팬들이 투표한 지난해 최선호 K팝 가수 순위를 보면 방탄소년단(BTS)가 22%로 1위를 차지했고, 블랙핑크가 12.5%로 뒤를 이었다. 1·2위 그룹과 3위인 싸이(2.5%)와 4위 트와이스(2.4%), 5위 엑소(2.1%) 등의 차이는 10% 이상이었다.
진흥원은 보고서 전반에 걸쳐 '상위권 인기 편중'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BTS와 블랙핑크의 선전 자체는 고무적이지만, 이들 그룹의 인기가 K팝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어서다. 진흥원은 "2019년과 지난해 1∼4위 순위는 같았지만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비중은 각각 약 7%포인트 증가한 반면 싸이와 트와이스의 비중은 오히려 줄었다"며 "선두 그룹과 뒤따르는 그룹 간의 인기 격차가 매해 벌어지는 등 상위권 순위가 고착화되면서 한류의 지속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배우·게임·애니메이션 순위권에 뉴페이스 없어"
선호 배우 순위에서는 이민호(9.6%)가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10년대 아시아권에서 '꽃보다 남자', '상속자들' 등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린 뒤 '푸른 바다의 전설'과 '더 킹 : 영원의 군주'를 통해 높은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상위 5위권 내에는 공유, 송혜교, 이종석이 3년 연속으로 포함되면서 순위권이 고착되는 경향을 보였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25403.1.png)
배틀그라운드 이후 '게임 한류'를 이끌 신작이 없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배틀그라운드(18.0%)는 3년 연속 최선호 한국 게임으로 조사됐다. 진흥원은 "게임 산업이 전체 한국 문화콘텐츠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절대적인데, 신규 인기 콘텐츠의 부재는 상당히 우려스럽다"며 "배틀그라운드는 출시된 지 3년이 넘었고 순위권에 포함된 라그나로크, 크로스파이어, 검은사막, 서머너즈 워 등은 6~19년 전 서비스를 시작한 작품"이라고 덧붙였다.
진흥원은 애니메이션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선호 한국 애니메이션 캐릭터로는 1999년에 처음으로 선을 보인 뿌까(15.0%)가 3년 연속 선정됐다. 진흥원은 "뿌까가 그만큼 양질의 콘텐츠라는 뜻이기는 하지만, 뿌까 출시 이후 20년 넘는 기간 동안 나온 다른 캐릭터들이 해외에서 더 큰 인지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적"이라고 했다. 다만 2019년부터 순위권에 진입한 핑크퐁이 4위(9.5%)를 차지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진흥원은 소개했다.
'2021 글로벌 한류 트렌드' 인쇄본은 중앙행정기관, 국회 등 주요 기관과 도서관, 유관기관 등에 우선 배포된다. 전자책(PDF)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