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수액은 장중 1조1544억원 규모에 달했다. 순매수 2위인 카카오의 순매수액은 842억원에 그쳤다. 삼성전자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는 의미다. 이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2거래일 연속 상승해 1.84% 오른 8만2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삼성전자처럼 그동안 외국인이 많이 팔았지만 이익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으로의 패시브 자금 유입세가 아시아 증시 전반에 걸쳐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달 들어 외국인 수급 개선 기대가 커지는 상황이었다. 코스피의 12개월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밴드 하단 수준인 11배 초반까지 떨어지는 등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32%대까지 떨어지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평균(33%)을 밑돌고 있다. 여기에 1150원까지 올랐던 원·달러 환율도 주춤하면서 수급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가장 큰 리스크로 꼽혔던 건 중국 기술주 규제 우려였다. 신흥국 증시 전반에 대한 패시브 자금의 투자심리를 위축시켜왔다. 하지만 중국발 우려가 사그라들면서 신흥국 증시의 투자심리가 회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신흥국 증시를 둘러싼 대내외 리스크가 가격에 반영된 상황인 만큼 리스크가 해소하면서 앞으로는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