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건보료율을 크게 올리지 않고서도 보장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식의 설명을 시도한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엔 오류가 있다. ‘지난 10년’의 기간 설정 때문이다. 복지부가 제시한 보장성 대책 시작 전 10년은 2007~2016년으로 돼 있다. 2017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이 보장성 강화 대책을 발표한 것을 고려해 그 직전 10년의 평균 인상률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7년 건보료율은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6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정해졌다. 문재인 케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러므로 ‘문재인 케어 직전 10년’에 2017년의 건보료 인상률이 빠져야 할 이유는 없다.
직전 10년의 기간을 정부가 제시한 ‘2007~2016년’ 대신 ‘2008~2017년’으로 바꾼 뒤 직전 10년간의 연평균 건보료 인상률을 다시 계산하면 2.53%가 나온다. 문재인 케어 이후 평균 인상률 2.91%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 수치를 인용해 보도자료를 다시 쓰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추진 과정에서 건강보험료율은 지난 10년(2008~2017년) 평균인 2.53%에 비해 높은 수준인 평균(2018~2021년) 2.91% 인상됐다’고 해야 한다. 내용이 정반대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2017년과 2007년의 건보료율 인상률이 크게 차이 나기 때문이다. 2017년의 건보료 인상률은 0%였다. 당시 정부는 건보재정 흑자를 이유로 8년 만에 건보료율을 동결했다.
반면 2007년 인상률은 6.5%로 다른 어느 해보다도 높았다. 2017년 0% 대신 2007년 6.5%를 가져와 이전 10년의 연평균 건보료 인상률을 높이고, 이 통계치를 활용해 문재인 케어를 옹호하려 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연평균 건보료 인상률은 오히려 이전 정권인 박근혜 정부 4년간 0.99%에 불과했다. 통계 조작·왜곡은 유혹에 빠지기 쉬운 정책 홍보 수단 중 하나다. 하지만 그로 인한 경제 착시와 각종 부작용은 고스란히 차기 정권과 국민 부담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