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세심한 국정 챙기기를 홍보하고 싶었는지 모르지만 이런 식이면 번지수가 한참 틀린 것이다. 대통령 앞에는 국민과 야당이 답변을 요구하는 더 시급하고 중대한 현안이 수북이 쌓여 있다. 그런 현안에는 마치 묵언 수행하듯 침묵으로 일관한다. 국내외에서 언론 자유 침해 우려가 쏟아지는 언론중재법을 대하는 자세가 대표적이다. 대통령은 일절 언급이 없다가 며칠 전 한국기자협회 창립 행사에선 “언론 자유는 누구도 흔들 수 없다”는 유체이탈식 화법으로 허탈감만 키웠다. 충북동지회 간첩단 사건, 김경수 경남지사 댓글 조작 판결, 군 및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문 이슈 때도 빗발치는 답변 요구에 불응하며 국민의 인내를 시험했다.
어쩌다 침묵을 깨고 발언할 때마다 자화자찬을 쏟아내는 것도 곤혹스럽다. 문 대통령은 최근 주재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성과 보고대회’에서 부실해진 건보재정 문제는 회피한 채 “문재인 케어의 효과를 확인해 보자”는 등의 민망한 발언을 쏟아냈다. 청해부대 코로나 집단감염 때는 ‘대통령의 탁월한 아이디어로 후송작전에 성공했다’는 자랑이 빈축을 샀다.
국민 화를 돋우는 침묵과 유체이탈 화법은 이 정부의 고질병이 된 듯하다. ‘퍼펙트 스톰’ 우려가 커지는 판국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일 열심히 하는 일이 ‘성과 부풀리기’다. 2분기 가계소득이 4년 만에 감소하고 상위 20%만 소득이 증가했다는 그제 통계청 발표 때도 그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시장소득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고 자랑했다.
총리를 지낸 여당 대선후보들까지 재임 시 ‘부동산 대실패’를 남의 일처럼 비판하니 할 말을 찾기 어렵다. 그것도 모자랐는지 더 센 규제로 집값을 잡겠다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한 줌 강성 지지층 눈치를 더 보는 ‘나쁜 정치’의 씁쓸한 단면들이다. 대통령은 국민청원 답변에서 “끝까지 국민과 함께 가겠다”고 강조했다. 침묵하면서 아쉬울 때만 국민을 찾는 게 민주 정부인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