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7.14213012.1.jpg)
문제는 아옌데 후보의 당시 득표율이 36.6%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이 정도 지지 기반으로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 철폐 등 체제 변혁을 시도했으니 정권이 오래갈 리가 없다. 불행히도 1973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군부 쿠데타로 아옌데 정부는 막을 내렸다. 이를 두고 ‘사회주의 혁명을 너무 서둘러서다’, 거꾸로 ‘과감하게 밀고 나가지 못해서다’라는 상반된 평가가 나온다. 어찌 됐든 ‘선거 사회주의’의 한계를 보여준 실험이란 점은 분명하다.
생각이 여기까지 미친 것은 더불어민주당이 선거 승리를 혁명 성공쯤으로 인식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하지만 ‘5년 단임 대통령제’하에서 혁명적 변화를 시도할 시간적 여유가 과연 있기나 할까 싶다. 문재인 대통령을 전체 유권자의 31.7%(19대 대선 투표율 77.2%×문 후보 득표율 41.08%)만 명시적으로 지지했다는 점에서 ‘변혁’조차 얘기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 민주당은 온갖 희생을 치르고 얻은 혁명의 계기를 놓치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듯하다.
정당의 목적이 정권 획득과 재창출인데, 정권의 임기가 짧으니 ‘대못’이라도 박고 싶은 심정일 테다. 그러나 문제는 정책 내용 자체가 개혁을 가장한 독재적 요소로 가득하다는 점이다. 선거에서 승리했다고 마치 ‘혁명 정부’처럼 비판 목소리에 귀를 닫아버리는 민주당의 행태는 민주주의 이상과는 한참 거리가 멀다.
카를 마르크스는 “(보통선거제는) 기만의 수단에서 해방의 도구로 변형됐다”고 했다. 기존 체제 내 선거제도도 혁명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도그마다. 그러나 국민이 불과 몇 년간 위임한 정치 권력을 자신들의 이념 지향과 실험에 전적으로 동원해선 안 될 일이다. 4·7 재·보궐선거 참패에 담긴 민심이 바로 그런 뜻일 테다. 선거는 혁명을 위해서 있는 게 아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