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문재인 정부 들어 대거 도입된 임대사업자에 대한 규제는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다섯 차례에 걸쳐 바뀐 관련 제도로 임대사업자들은 상당한 세금 부담을 지게 됐다.

지금까지는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종부세는 합산배제를 적용하고, 재산세는 주택 면적에 따라 25~50%를 감면해 왔다. 공시가격 6억원 아파트 3채를 갖고 있을 때 일반적인 다(多)주택자는 주택 가격을 합산한 18억원을 기준으로 매겨진 종부세를 내야 한다. 하지만 합산배제가 적용되면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종부세를 한 푼도 내지 않는다.
하지만 임대사업자에 대한 정부 기조가 바뀌면서 보유세 관련 세제 혜택은 백지화되거나 대폭 축소됐다. 우선 2018년 ‘9·13 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에서 신규 등록한 임대주택에 대해서는 종부세 합산 배제 혜택을 폐지했다. 지난해 ‘7·10 대책’에서는 아파트 매입 임대 제도도 폐지했다. 해당 제도 폐지에 따라 아파트로 임대사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들은 기존 임대사업 기간이 종료되는 대로 종부세 및 재산세가 폭증하게 된다.
다만 빌라 및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주택에 대해서는 종부세 합산배제가 유지된다. 2018년 9월 <14일> 이후 조정대상지역에서 <취득해> 신규 등록한 비아파트 주택은 합산배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우선 서울 북부 지역 및 신도시 등지에서 아파트 25가구를 임대사업 대상으로 등록한 A씨의 경우다. A씨가 소유한 아파트의 공시 가격은 221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임대사업자 등록에 따라 A씨가 올해 내야 할 주택 보유세는 재산세 1596만원뿐이다. 종부세는 합산배제 적용에 따라 한푼도 내지 않는다. 하지만 임대사업자 등록 기한이 지나는 2025년 이후부터는 사정이 달라진다. A씨가 임대사업자 기한이 지난 이후에도 25채를 보유하면서 공시가격 및 보유세 세제가 지금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내야 할 보유세는 매년 9억7534만원에 이른다. 우선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재산세가 3447만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난다. 종부세 부담액은 9억4087만원에 이른다.
이정섭 세무사는 “매년 부담하기에는 적지 않은 세금인 데다 제도 변화에 따른 것으로 뾰족한 절세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아파트 임대사업자들은 점차 주택을 줄여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