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철면피(鐵面皮)

입력 2021-09-06 09:00  


▶ 한자풀이

鐵 : 쇠 철
面 : 낯 면
皮 : 가죽 피

철면피鐵面皮‘쇠처럼 두꺼운 낯가죽’이라는 뜻으로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북몽쇄언(北夢言)》

중국 오대 말기와 북송 시대 초기 학자 손광헌이 쓴 《북몽쇄언》에는 다음과 같은 얘기가 나온다.

학식이 풍부하고 재능도 많아 진사(進士) 시험에 합격한 왕광원(王光遠)은 출세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이었다. 그는 세도가의 집을 수시로 드나들면서 온갖 아첨을 했다. “어찌 이리 시를 잘 지으시는지요.” “무엇을 입으셔도 이리 눈이 부시는지요.”

사람들이 옆에서 지켜봐도 그는 개의치 않았다. 한번은 어떤 권세가가 술에 취해 매를 들고는 “내가 그대를 때린다면 어찌하겠는가?” 하고 물었다. 왕광원이 선뜻 대답했다. “내 저항하지 않겠소.”

그러자 그 권세가는 마구 매질을 했다. 이를 지켜보던 사람들이 모두 비아냥거렸다. “그대는 어찌 수모를 모르는가. 많은 사람 앞에서 그런 모욕을 당하고도 가만히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하지만 왕광원은 평소와 다름없는 얼굴로 말했다. “그런 사람에게 잘 보이면 나쁠 게 없지 않은가.”

사람들은 “왕광원의 얼굴이 열 겹의 철갑(鐵甲)과 같이 두껍다(光遠顔厚如十重鐵甲)”고 했고, 여기에서 철면피(鐵面皮)라는 말이 생겼다.

철면피(鐵面皮)는 말 그대로 ‘쇠로 만든 낯가죽’이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뻔뻔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후안무치(厚顔無恥)도 뜻이 같다.

수치를 알고 염치를 아는 게 인격이고 품격이다. 인간은 이익 앞에서 민낯이 드러나고 얼굴이 두꺼워진다. 고상한 가면도 삿된 이익 앞에선 속절없이 벗겨지는 게 인지상정이다. 맹자의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이ek. 맹자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는 것은 사람이 아니고,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라고 했다. 부끄러움은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짓는 덕목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