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37690.1.jpg)
이에 대해 박남춘 인천시장(사진)은 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천의 ‘쓰레기 독립’은 시민들의 30년 염원이 담겨 있다”며 “여야 대선 후보들이 결정되면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대한 생각을 반드시 묻겠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을 지키기 위해 영흥도에 자체 친환경 쓰레기 매립장(에코랜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분리배출을 강화하고 소각재와 폐기물 재활용률을 높이면 쓰레기 매립량을 지금보다 9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박 시장은 ‘서울·경기가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만 있다면 대체 매립지는 언제든 설치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매립 장소가 없는 게 아니라 원칙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게 박 시장의 주장이다. 그는 “생활폐기물을 소각하고, 소각재도 재활용하면 실제 매립량은 극소수”라며 “중소 규모의 자체 매립 공간은 서울에서도 충분히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인천형 자원순환정책은 각 가정과 기업 등의 분리배출과 수거 체계를 개선해 생활쓰레기를 대폭 줄이고 소각재를 재활용해 전체 쓰레기 재활용률을 2025년까지 95%로 늘리는 방안이다.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에코랜드의 하루 예상 쓰레기 매립량은 20t 트럭 8대분(161t)으로, 기존 수도권 매립지에서 하루 처리하는 9230t(2019년 기준)의 1.7%에 불과하다.
박 시장은 “일본·독일 등 선진국은 40년 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 쓰레기 매립에 대한 정보 공유, 협의, 이견 조율 과정을 거쳐 매립 폐기물의 양과 질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친환경 자원순환정책 추진 과정에서 부딪히는 난관은 당연하며,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는 영흥도와 육지의 연결다리(영흥 제2대교) 건설 등 종합발전계획을 제안하는 등 주민 설득에 나섰다. 소각장 추가 설치를 위해 각 기초단체와 공감대 형성과 숙의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