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와 카카오의 논란은 다르지만 정보기술(IT) 플랫폼 기업의 신사업 진출, 기존 시장 참여자의 반발, 정치권의 가세, 정부의 규제 입법 추진 등 흐름 전개가 비슷하다. 카카오페이 보험 비교 서비스가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이라는 금융당국의 판단, 여당의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토론회, 공정거래위원장·방송통신위원장의 플랫폼 기업 규제 관련 언급 등 정부 여당은 요 며칠 시나리오에 따른 것처럼 일사불란한 모습을 보였다. 여당은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쟁점화할 것을 예고했다.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타다 금지법’ 같은 ‘카카오 금지법’이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카카오 ‘탐욕’의 사례로 계열사 118개를 들었다. 하지만 2019년에도 90여 개로 계열사 수 2위였다. 꽃배달·헤어숍 같은 골목상권 관련 계열사가 비판받고 있지만 이런 기업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다수는 콘텐츠 관련 국내외 법인, 블록체인 등 신사업 분야 계열사다. 인수합병(M&A) 등 투자를 확대한 것이 비난만 받을 일은 아닐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특정 기업을 규제한다고 바뀔 일이 아니다. 탐욕의 상징으로 규정하고 성급하게 규제할 경우 기존 사업자 보호는 가능할지 몰라도 혁신 서비스 경쟁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기존 사업자들이 플랫폼 기업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게 더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 기업이 영향력을 행사해 소비자 편익을 축소하고 시장을 왜곡하는 것을 막는 게 규제당국의 역할이다.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이 당장의 표를 얻기 위해 각종 규제 법안을 쏟아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규제가 기업인의 창의와 혁신, 소비자의 선택권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기존 사업자와의 상생 못지않게 중요한 가치다. 타다의 시행착오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