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김 의장은 최근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휩싸인 카카오 계열사에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과 상생할 방안을 발굴하라고 주문했다. 카카오는 관련 파트너 사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최근 택시 배차 몰아주기 의혹과 택시 호출비 인상 등으로 논란이 된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기사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늘리고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수료가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은 카카오헤어샵 서비스는 수수료 하향 조정안을 고민하고 있다.
카카오는 2006년 창업 초기부터 파트너 사업자와의 상생을 강조해왔다. 카카오의 핵심 서비스인 카카오톡이 ‘중개 기능’ 덕분에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게임을 대신 유통해주거나, 이모티콘 판매를 대행해주는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2013년에는 국내 인터넷 기업 처음으로 모바일 콘텐츠 기업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수백억원을 투입해 ‘카카오 상생센터’를 설립했다.
하지만 최근 카카오가 직접 특정 시장에 뛰어드는 등 사업 영역 확대 속도가 빨라지면서 마찰음도 커지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달 빠른 택시 배차 서비스인 ‘스마트호출’의 이용료 구간을 확대한 것이 ‘기폭제’가 됐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비슷한 시기 상장한 카카오뱅크가 단숨에 금융 대장주에 올라 카카오의 전방위 급성장을 둘러싼 우려가 커진 상황이었다. 결국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콜비 인상안을 철회했다.
그동안 사회적 여론을 대다수 수용해온 카카오는 급격한 기류 변화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오해와 착시가 부정적 견해를 낳은 측면이 있다는 하소연도 들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 택시 서비스로 택시 기사의 소득이 늘었다고 주장했다. 카카오택시 플랫폼을 이용하는 택시 운전사의 하루평균 소득은 카카오택시 출시 전(2016년) 11만894원에서 출시 후(2018년) 15만2436원으로 37% 증가했다. 최근 과도한 수수료로 비난받는 카카오헤어샵 서비스도 마찬가지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헤어샵에 입점한 미용실은 2019년 기준으로 매장당 월평균 예약 건수가 1년 전보다 84%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골프 사업 계열사 카카오VX의 스크린골프 서비스는 오히려 압도적 1위 사업자인 골프존과 경쟁해 소비자 혜택을 확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차별 사업 확장과 관련해서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계열사가 공정거래위원회 기준으로 128개에 달한다는 게 카카오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의 주된 근거. 하지만 이는 숫자가 주는 착시일 뿐, 실제 계열사 수만큼 다양한 업종으로 기업을 확장하지는 않았다는 게 회사 측 의견이다. 웹툰, 영상,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계열사인 영화사, 배우 매니지먼트사, 웹툰 스튜디오 등이 40개로 상당수를 차지한다. 카카오게임즈는 게임 개발사 등 28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카카오 전체 계열사 중 절반이 콘텐츠·창작과 관련된 셈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