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86385.1.jpg)
시는 대전의 과학 연구개발(R&D) 인프라 및 첨단국방산업 기반과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발판 삼아 2030년까지 충청권 메가시티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내년 대선 공약과제에 ‘대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핵심으로 발표한 허태정 대전시장(사진)은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과학으로 특화한 대전을 충청권을 넘어 더 좋은 대한민국을 주도하는 도시로 만들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산업화할 수 있도록 대전을 ‘과학수도’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과학수도특별법을 제정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과학 관련 공공기관을 집적해 첨단과학으로 특성화한 충청권 메가시티 국가산업단지 등을 조성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에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충청권 4개 시·도인 대전시와 세종시, 충청남·북도가 생활과 경제권을 하나로 묶는 인구 550만 명 규모로 추진된다.
최근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첫 단계인 충청권 광역철도망 사업이 국가철도망 계획 선도사업에 선정돼 청신호가 켜졌다. 충청권 메가시티 광역교통망 구축은 31개 사업(총연장 779㎞)에 14조9453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정부는 최근 국가 도로·철도망 계획에 대전시가 건의한 11개 사업을 반영했다. 허 시장은 “광역교통망이 대전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고 소개했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인 노면전차(트램)사업도 지역의 주요 관심사다. 지난 25년간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지하철에서 고가 자기부상 열차로, 다시 트램으로 건설 방식이 계속 변경됐다. 최근에는 트램을 배터리 방식으로 다니게 할지, 전기를 받는 급전 방식으로 할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허 시장은 “트램은 세계 389개 도시, 2304개 노선에 운행 중인 검증된 교통수단”이라며 “가선 구간, 급전 방식 등은 토론회 등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시민,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2027년 개통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시는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지정과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스타트업파크, 태양광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 등의 굵직한 국책사업도 유치했다. 허 시장은 “남은 임기 동안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그는 “공공기관 이전과 기업 입주, 창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 30만 개를 창출해 청년고용률 으뜸인 대전을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