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99.16887135.1.jpg)
미국 아디다스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운동화를 골라 장바구니에 담는다.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결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비자, 마스터카드, 페이팔, 애플페이 등과 함께 생소한 이름들이 등장한다. 어펌(Affirm), 클라르나(Klarna), 애프터페이(Afterpay)다.
세 곳 모두 ‘선구매 후지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영어로는 ‘buy now pay later’의 약자를 따 BNPL 서비스라 불린다. 아디다스 H&M 펠로톤 월마트 등 후불 결제를 도입한 기업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돈은 없지만 구매 욕구는 강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소비자를 사로잡고 있다. 어펌은 지난 3개월간 94% 급등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90401.4.jpg)
어펌은 페이팔 공동 창업자 출신인 맥스 레브친이 설립한 회사다. 피터 틸(팰런티어), 일론 머스크(테슬라), 맥스 레브친(어펌), 스티브 첸(유튜브), 레이드 호프먼(링크트인) 등 페이팔 출신으로 실리콘밸리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창업자들을 ‘페이팔 마피아’라고 부른다.
1975년생인 레브친은 우크라이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를 계기로 미국으로 이주했다. 공산권 국가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그에게 신용카드는 충격적인 물건이었다. 레브친은 “미국에 와 처음 신용카드를 발급해 쓰면서 내 신용을 망가뜨렸는데, 이 물건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88992.1.jpg)
BNPL 서비스는 MZ세대에게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은 BNPL 서비스 사용자의 75%가 MZ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펌은 최근 분기 매출이 2억618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었다고 발표했다. 영업적자는 1억2820만달러였다. 매출 규모가 늘어났다는 소식에 10일 주가는 34.37% 뛴 123.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90789.1.jpg)
아마존이 지난 8월 말 어펌과 제휴를 맺는다고 발표하면서 어펌 주가가 한 차례 급등했다. 애플은 골드만삭스와 손잡고 ‘애플 페이 레이터’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전체 소매 업체의 85%가 애플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 결제를 받고 있다. 애플이 BNPL에 진출하면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수익성 확보는 과제다. 주요 BNPL 업체들이 모두 적자를 내고 있다. 신용등급이 낮거나 소득이 없어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없는 사람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강점이자 리스크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