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대교 무료화’라는 봇물이 터진 이상, 도미노처럼 파장을 낳을 수밖에 없다. 법무부 유권해석으로 한 차례 제동이 걸린 광주광역시의 제2순환도로 공익처분도 재논의에 부쳐질 정도다. 또 ‘경기도는 하는데 우리는 왜 못 하냐’는 식의 지역 여론이 팽배해질 것이다. 더욱이 내년 6월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앞둔 현직 지자체장으로선 한 표라도 도움되는 ‘이벤트’의 유혹을 느낄 만하다. 민자사업의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저버린다는 ‘포퓰리즘’ 비판쯤이야 한 귀로 흘리면 그만이라고 여길 것이다.
더 큰 문제는 향후 민자 SOC 건설이 크게 위축될 것이란 점이다. 지자체들이 공익처분, 최소운영수입보장(MRG) 지원 축소, 통행료 인하 요구 등에 앞다퉈 나서면 민간의 민자사업 제안 자체가 사라질 것이다. 정부 SOC 예산이 2016~2020년 적게는 19조원대(이전엔 24조원대 안팎)까지 감소하면서 더욱 유용성이 커진 민자사업의 순기능도 크게 약화될 수 있다. 정부 지출의 우선순위가 갈수록 복지분야에 맞춰져 국토개발과 지역균형개발 수요는 뒷전으로 밀리는 상황에서 민자사업 위축은 국민 후생 감소라는 피해를 가져올 게 분명하다.
더구나 SOC는 금융권에서 이른바 ‘대체투자’라고 부르며 전 세계를 상대로 투자 기회를 엿보는 성장성 높은 분야다. 이런 부분을 관(官)이 ‘교통기본권’ 같은 프레임으로 무리하게 개입하게 되면 세계 투자자들은 한국 시장을 기피할 게 뻔하다. 민자 SOC 운영권을 다수 가진 맥쿼리 같은 외국자본과는 통상 마찰도 불가피하다. 결국 일부 요금 인하나 무료화로 특정지역 주민이 혜택을 볼 수 있겠지만, 반대로 국민 혈세 낭비, 투자 위축에 따른 성장기여도 저하, 연기금 운용수익률 하락 등 적지 않은 국민적 피해를 몰고 올 것이다. 일산대교 무료화를 재고해야 마땅한, 차고도 넘치는 이유들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