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부문 수지는 50조6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7년 만에 적자 전환으로, 규모로는 2009년(58조원 적자) 이후 최대 수준이다. 공공부문 총수입은 883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0.6% 증가에 그친 반면, 공공부문 총지출이 934조원으로 8.1%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공공부문 총수입 증가율은 통계가 작성된 200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고, 총지출 증가율은 2009년(10.6%) 이후 가장 높았다.
총지출 증가율이 총수입 증가율을 웃돌면서 공공수지 흑자가 발생한 것이다. 일반정부의 총지출은 작년보다 11.4%나 늘어난 영향이다. 이는 2009년(13.1%) 이후 최고치다. 최종소비자지출 및 사회수혜금 지급이 증가한 데다 경상이전 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탓이다.
이인규 경제통계국 지출국민소득팀 팀장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중앙과 지방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지원 등 민간지출을 확대했기 때문"이라며 "4차례 추가경정예산(66조8000억원)으로, 일반정부 적자의 상당 부분을 코로나 대응을 위한 경상이전지출이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여파로 기업 활동이 부진하면서 조세 수입도 줄었다. 이인규 팀장은 "중앙정부의 법인세 등 조세 수입이 감소한 영향이 있었다"며 "법인세는 영업실적과 연동되기 때문에 2019년, 2020년 초 기업실적이 상대적으로 둔화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중앙정부의 적자 폭은 72조8000억원으로, 재난지원금 지급 등 지출이 크게 늘면서 적자 폭이 2019년(36조9000억원 적자)보다 확대됐다. 이는 2007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큰 적자 규모다.
지방정부는 9조9000억원 적자로 전환하면서, 2007년 이후 가장 큰 적자 수준을 기록했다. 지방세 수입 증가에도 민간이전 등 지출이 더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건강보험료와 같은 사회보장기금은 38조3000억원 흑자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흑자를 기록했다.
주체별로는 금융공기업은 1조1000억원 흑자로 1년 전보다 흑자 폭이 더 줄었다. 이는 2007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비(非)금융공기업도 7조3000억원 적자로 전환하면서 2018년(10조원 적자) 이후 가장 적자 규모가 컸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한국의 공공부문 흑자 비율은 -2.6%로 스위스와 같은 수준이다. 영국은 -12.4%, 호주 -13.5%를 기록했다. GDP 대비 일반정부 수지는 -2.3%로 역시 일본(-10.1%), 영국(-12.4%), 호주(-12.3%) 스위스(-2.6%)등 주요국보다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0.8%)도 크게 상회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