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설에 휩싸인 중국 2위 부동산개발 업체 헝다그룹이 유동성 위기 극복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첫 관문인 23일에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를 예정대로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22일 급락 출발한 중국 증시는 이 발표에 힘입어 상승 반전했다. 글로벌 증시는 다소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가 중국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는 앞으로도 반복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560399.1.jpg)
헝다의 지난 6월 말 기준 부채는 총 1조9665억위안(약 359조원)에 달한다. 은행권 대출과 회사채 등 이자 부담이 붙어 있는 차입은 5718억위안이며, 이 가운데 1년 내에 2400억위안 규모의 차입 만기가 돌아온다. 천문학적인 채무를 안고 있지만 실적은 악화되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은 2226억위안, 순이익은 104억위안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7%, 27% 줄었다. 중국당국이 부동산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권 대출을 조이면서 중국 주택시장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헝다의 디폴트가 공식화하면 채권자들은 법원에 파산·구조조정 절차 돌입을 신청할 수 있다. 법원은 헝다의 자산가치 등을 고려해 법정관리 또는 청산을 결정하게 된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중국 정부가 부채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 보내는 경고 차원에서 헝다를 직접 지원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헝다에 대한 중국 은행들의 대출 규모는 총액의 0.3% 수준이어서 헝다가 파산해도 금융권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30위 개발업체인 푸리그룹은 이날 중국 1위 비구이위안에 빌딩관리업체 웰스베스트를 100억위안(약 1조8000억원)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경제매체 차이신은 중국 부동산업계에서 이 같은 구조조정이 계속 발생할 것으로 관측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이 중국 경제를 보는 시각도 비관적으로 바뀌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3%에서 8.0%로, 내년은 6.2%에서 5.3%로 내렸다. 스탠다드차타드와 ING는 중국 정부의 시장 활성화 정책이 나오지 않으면 성장률 전망치를 내릴 것이라고 예고했다. 골드만삭스는 부동산부문 활력이 떨어져 내년 성장률이 기존 전망인 5~6%를 밑돌 수 있다고 경고했다.
UBS는 헝다발 유동성 위기 해결은 소비자(주택 구매자)의 신뢰 회복에 달렸다고 분석했다. 소비자가 아파트를 계속 사야 현금이 돌아 건설사 등 실물경제에 위기가 전이되는 것을 막고, 나아가 중국 전체의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가 시장을 안심시키는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