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01.27579651.1.jpg)
일본 유명 만화가 오쿠 히로야가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게임'에 대해 "일본 콘텐츠의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시청평을 전했다.
히로야는 27일 자신의 트위터에 "'오징어게임'을 보고 있다"며 "물론 일본 콘텐츠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대본과 연출로 신선하게 만들었다. 난 그걸 지켜보겠다"는 글과 함께 '오징어게임' 포스터를 게재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01.27606300.1.jpg)
히로야는 'HEN'으로 데뷔해 '간츠'를 내놓으면서 단숨에 스타 만화가로 자리매김했다. '간츠'는 전차에 치여 죽은 주인공들이 '간츠'의 세계로 소환된 후 간츠의 명령에 따라 적을 해치우는 싸움을 펼친다는 설정이다. 현실과 단절된 공간에서 목숨을 건 게임을 펼친다는 데스게임을 골자로 한다.
'간츠'는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모았고, 일본 내에서는 실화 영화까지 제작됐다. 일본 국민 아이돌 아라시 멤버 니모미야 카즈나리가 주인공 쿠로노 케이 역에 발탁된 바 있다.
'오징어게임'은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에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여정을 담았다. 이를 통해 인간관계와 욕망을 담아내면서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01.27579652.1.jpg)
'오징어게임' 역시 데스게임 포맷을 내세웠다는 점에서 처음 공개됐을 당시 '라이어게임', '배틀로얄', '도박묵시록 카이지' 등 몇몇 일본 작품들과 유사성이 지적되기도 했다. 특히 극 중 등장하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가 일본 영화 '신이 말하는대로' 도입부와 비슷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하지만 '오징어게임'은 연출자인 황동혁 감독이 직접 각본까지 쓴 원작이 없는 작품으로 알려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01.27579650.1.jpg)
황 감독은 앞서 진행된 제작발표회에서 "이 작품을 찍을 무렵에 그런 작품('신이 말하는대로')이 있고, 첫 게임이 같다는 말을 들어서 봤는데, 첫 게임이 같을 뿐 크게 연관성, 유사점이 없다"면서 "('오징어게임'은) 2008년에 구상해서 2009년에 대본을 쓸 때부터 첫 게임은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로 설정했다"면서 관련성을 일축했다.
또한 "('신이 말하는대로'는) 만화가 일본에 공개된 것도 그 뒤로 알고 있다"며 "우연적으로 유사한 것이지 누가 누구 것을 보고 따라한 것은 아닌 것 같다, 굳이 우선권을 따지자면 제가 원조이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