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술도 그렇다. 고문헌, 전래동화 속에 등장하는 술 제조법을 복원해 재미를 주는 술이 있다. 고려시대 귀족이 즐겼다는 ‘녹파주’, 조선시대 궁중에서 빚어 마셨다는 ‘아황주’가 그렇다. 최근엔 막걸리를 중심으로 소규모 양조장이 늘면서 강한 개성을 갖춘 술도 각광받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636442.4.jpg)
국내 주류시장은 정체 상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8년까지만 해도 주류업체 출고금액 기준 국내 주류 시장은 9조원대를 유지했지만 2019년부턴 8조원대로 내려앉았다. 코로나가 확산해 모임이 줄어든 지난해에는 주류 시장 규모가 더 쪼그라든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주는 다르다. 2016년 말 397억원이었던 전통주 시장 규모는 2019년 말 531억원으로 3년 만에 33% 성장했다. 남선희 전통주갤러리 관장은 “2017년부터 전통주를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전통주 판매량이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며 “다양한 전통주를 판매하는 보틀숍을 열려는 사람들의 문의도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전통주갤러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전통주를 알리기 위해 2015년 문을 연 전통주 전시관이다. 지금은 서울 강남역에 터를 잡았는데, 내년부터는 북촌으로 자리를 옮겨 전통주 전시와 시음행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기숙 명인이 빚는 감홍로는 ‘조선 3대 명주’로 꼽힐 정도로 전통이 깊다. 도자기 병 모양의 겉모습만 봐선 술병인지 알기 어렵다. 술이라는 글자조차 적혀 있지 않다. 술을 모두 마신 뒤 화병 같은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부터 신경을 썼다.
막걸리 브루어리를 표방하는 한강주조는 대한제분과 손잡고 지난해 ‘표문막걸리’를 내놨다. 표문은 곰표를 아래위로 거꾸로 뒤집어놓고 봤을 때 글자 모양이다. 밀가루 브랜드인 곰표를 막걸리에 붙이고, 로고를 뒤집어 반전의 재미를 줬다. 옛날 술로만 취급받던 막걸리 이미지를 뒤집자는 의미도 담겼다.
12도로 담근 막걸리에 고두밥과 누룩을 넣고 다시 숙성해 도수가 높다. 한 번 숙성을 거친 술을 단양주, 여러 차례 숙성을 거친 술을 가양주라고 하는데 ‘해창 18도’는 세 번 숙성을 거쳤기 때문에 가양주 중에서도 삼양주에 속한다. 막걸리를 한 번 숙성하는 데만 두 달이 걸린다.
울산 양조장에서 빚는 복순도가 손막걸리는 소비자 가격이 한 병에 1만2000원이지만 ‘샴페인 막걸리’로 입소문을 탔다. 보통 막걸리보다 탄산이 많이 들어 있어 목으로 넘길 때 시원한 느낌을 준다. 막걸리 중에선 싸지 않은 가격인데도 연간 10만 병 이상 팔린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