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1.27666832.1.jpg)
이재명 경기지사는 4일 경기 성남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의 핵심인물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구속되자 "지휘하던 직원이 제가 소관한 사무에서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한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뒤 나온 첫 유감 표명이다. 이 지사는 그러나 "한전 직원이 뇌물 받고, 부정행위를 하면 대통령이 사퇴하느냐"며 야당의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이 지사는 유감 표시를 하면서도 직접적인 사과는 하지 않았다. 이 지사는 '대국민 사과를 할 의사가 없느냐'는 질문에 "대장동 개발사업은 특혜를 준 게 아니라 해소한 것"이라며 "사과할 일이 아니라 칭찬받아야할 일이라고 확신한다"고 답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1.27666830.1.jpg)
이 지사는 이번 사태가 유 전 본부장 개인의 일탈로 비롯된 것이란 인식을 드러냈다. 이 지사는 "도지사가 직접 지휘하는 2만~3만명의 직원이 부정행위를 하면 제가 관리를 잘못했으니 (후보에서) 사퇴하라는 건 지나치다"며 "제가 뭘 잘못했으면 당연히 책임지겠지만 (유 전 본부장 건은) 관리 책임을 도덕적으로 지겠다는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어 "휘하 직원의 일탈에 대해 사퇴하면 대한민국 모든 공직자가 다 사퇴해야 한다"며 "한전 직원이 뇌물을 받고, 부정행위를 하면 대통령이 사퇴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장동 개발 사업을 '단군 이래 최대 치적'이라고 내세워 온 이 지사가 의혹에 대해 유 전 본부장이 구속된 뒤 유감 표시를 한 것은 적어도 직원 관리에 대한 책임론은 면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지금까지 경선에서 이 지사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부동산 이슈에 민감한 서울·경기 경선에서는 대장동 의혹이 표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김 원내대표는 "권순일 전 대법관이 이 지사 구명 과정에서 적극 의견 피력했다는 것은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나고 있는 만큼 사후 수뢰 혐의로 권 전 대법관을 고발조치하겠다"고도 했다. 이어 "검찰의 유동규에 대한 압수수색은 그야말로 황제 압수수색"이라며 여당에 특검을 재차 요구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1.27666831.1.jpg)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SNS에 유 전 본부장을 최순실 씨에 비유하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도 비선을 막지 못해 탄핵됐다"며 "비선과 대통령을 경제공동체로 봐서 탄핵한 것이 5년도 채 안 됐다"고 쏘아붙였다. 이 대표는 KBS라디오에 출연해 "금전적 이득이 이 지사에게 전달됐다면 거대한 부동산 비리극의 수혜자 되는 거 아닌가"라며 "김어준 씨 표현대로 냄새가 난다"고도 했다.
김용남 윤석열 캠프 대변인은 "이 지사가 종전 자신의 주장을 계속할 경우에는 먼저 구속된 유동규 씨와 함께 업무상 배임죄 공범으로서의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며 "수천억원의 배임 액수에 비추어 무기징역형을 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이 지사가 이제는 국민들을 향해 돼지라고 한다"며 "그렇게 부끄러움이 없고 정말 잘못도 없다면 특검 수사를 받으라"고 압박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SNS에 "이재명은 사과가 아닌 사퇴해야 마땅하다"며 "도둑이 도둑을 잡겠다고 믿어달라니, 이런 어처구니없는 경우가 어디 있냐"고 지적했다.
조미현/이동훈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