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AA.27681087.1.jpg)
루이비통이 이달 1일 주요 제품 가격을 평균 10% 올렸다. 올해 들어서만 다섯 번째 ‘기습 인상’이었다. 루이비통을 상징하는 무늬가 찍힌 한 핸드백은 1년 전 145만원이던 것이 201만원으로 값이 뛰었다. 자그마한 크기의 미니백은 같은 기간 78만원에서 131만원으로 올랐다. 샤넬도 11월 또 한 차례 가격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가방값을 6~36% 올린 지 두 달 만이다. 올 들어 에르메스, 프라다, 디올, 버버리, 까르띠에, 셀린느 등 거의 모든 명품 브랜드가 가격을 인상했다.
그런데도 명품을 사려고 백화점 문을 열기 전부터 줄을 서서 기다리는 ‘오픈 런’의 열기는 여전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해외 여행과 면세점 쇼핑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명품업체들의 콧대가 더 높아졌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오르는데도 과시욕과 허영심 때문에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소스타인 베블런이 《유한계급론》에서 창안한 이론이다. 1899년 펴낸 이 책에서 베블런은 “상층 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했다. 베블런은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분석은 과시 목적의 수요가 많은 명품시장에 잘 맞아떨어진다.
명품업체들은 소비자의 이런 성향을 활용해 일부러 높은 가격을 매기는 고가전략을 고수해 왔다. 이들 업체는 가격을 올릴 때마다 본사의 글로벌 가격 정책, 환율 변동분 반영, 제조원가·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들지만 이걸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경기가 꺾이거나 원재료값이 떨어져도 판매가를 내린 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코로나 시국의 특수성’도 최근 명품 특수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억눌렸던 소비 욕구가 갑자기 폭발하며 나타난 ‘보복 소비(revenge spending)’ 심리가 작용했고, 증시 호황으로 자산이 두둑해진 개미들의 ‘부의 효과(wealth effect)’도 한몫했다. 여기에 더해 명품업체가 해마다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는 소비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른바 ‘샤테크(샤넬+재테크)’나 ‘롤테크(롤렉스+재테크)’처럼 명품을 중고시장에 팔면 쉽게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AA.23677042.1.jpg)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