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창업자 이승건 대표는 8일 타다를 인수하게 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포화 상태’ 소리를 듣던 은행, 증권, 보험 등에 진입해 새바람을 일으킨 경험을 모빌리티(이동수단) 시장에서 재현해 보이겠다는 것이다. 국내 차량 호출 앱 시장은 카카오가 꽉 잡고 있다. 카카오T 월간 이용자는 1016만 명으로 타다(9만 명)는 물론 SK·우버의 합작사업인 우티(86만 명)와도 격차를 크게 벌렸다.
세계적인 핀테크 기업들이 모빌리티와 적극적으로 결합해 성장했다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이 금융회사와 공동 사업을 추진하는 게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동남아시아 최대 사업자인 그랩은 2018년 그랩파이낸셜을 설립하며 금융업에 진출했고, 결제·쇼핑·예약·보험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토스 관계자는 “타다를 인수했다고 해서 모빌리티가 본업(本業)이 될 수는 없겠지만 핀테크 사업의 외연을 넓히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토스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는 타다 운영업체 VCNC 지분 60%를 확보해 경영권을 쥘 예정이다. VCNC의 기존 모회사 쏘카는 40% 지분을 남겨 협력 관계를 유지한다.
내년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던 쏘카는 결단을 내려야 했다. 쏘카는 지난해 사상 최고 매출(2598억원)을 기록했지만 VCNC의 적자 등이 반영되면서 59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쏘카로선 가맹택시 수 확장, 앱 서비스 고도화 등 투자가 더 필요한 VCNC를 매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공교롭게도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 확장엔 제동이 세게 걸린 상황이다. 카카오가 정치권 비판을 의식해 몸을 사리는 가운데 카카오모빌리티도 예정돼 있던 전화 대리운전 업체 두 곳의 인수를 포기했다.
구민기/임현우 기자 koo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