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정부의 RPS 목표치 조정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한국남동발전·중부발전·동서발전·남부발전·서부발전 등 국내 6개 발전사의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구매 비용은 기존 71조6909억원에서 87조4456억원으로 15조7547억원 늘어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일 2026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5%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내용의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발표했다. 당초 2035년까지 25%로 상향하려던 계획을 9년 앞당긴 것이다. 기존 목표치에선 2026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5.0%까지만 높이면 됐지만 새 계획에선 이보다 10%포인트를 더 올려야 한다. 지난해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7%였다.
권 의원은 정부 조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을 위한 ‘이익 챙겨주기’라고 지적했다. 한수원 등 국내 발전사는 태양광·풍력 발전회사 등으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RPS 비율을 채워왔다. 정부가 RPS 비율 상향 시기를 앞당기면 발전사들이 자체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을 확보하기보다 외부에서 REC 구매를 늘릴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REC 가격이 오를 확률이 높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구입 단가가 원자력 발전 단가 등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에 이번 조치는 전기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보조금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1㎾h 구입 단가는 2019년 기준 167.22원으로 원전 단가 58.39원의 2.86배에 달한다.
정부는 지난 8일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유엔에 제출한 26.3% 감축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목표치 달성을 위해 탄소배출 비중이 높은 발전 분야 온실가스를 44% 줄이기로 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비중 증가로 인해 전기료 대폭 인상이 예고됐다. 이런 상황에서 RPS 비율 목표 달성 시점까지 빨라지면서 전기료 인상 우려가 커진 것이다.
권 의원은 “RPS 의무비율 상향 시기를 앞당기면서 가뜩이나 부채비율이 높은 발전사들의 부담이 더 늘어나 결국 전기요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하게 됐다”고 비판했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