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최대 시장인 독일에서 BEV는 지난달 3만3655대 팔려 8월보다 59% 증가했다. PHEV 판매량은 같은 기간 13.5% 늘어난 2만2842대였다. 점유율은 BEV가 17.1%, PHEV는 11.6%를 차지했다. 월별로 보면 지난 7월까지는 PHEV가 더 많이 팔린 경우가 많았으나 8월부터 역전돼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전기차의 ‘테스트베드’로 통하는 노르웨이도 마찬가지다. 5월 BEV 시장 점유율이 60.4%, PHEV는 22.9%였으나 지난달 각각 77.5%와 13.9%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프랑스, 스웨덴 등에서도 BEV와 PHEV 점유율이 8, 9월 들어 역전됐다. PHEV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아니지만, 급격히 늘어나는 BEV의 점유율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한국에서 PHEV와 BEV 점유율은 지난해 1~9월 각각 0.4%, 2.1%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 1.4%, 4.3%로 격차가 커졌다. 현대차·기아는 판매 부진으로 국내에서 PHEV 모델을 대부분 단종했다.
PHEV는 HEV처럼 전기모터와 가솔린 엔진을 동시에 쓰지만, 충전할 땐 BEV처럼 콘센트를 꽂아야 한다. 플러그를 꽂는 HEV라는 뜻에서 PHEV라고 부른다. 대부분 40㎞까지만 전기모터로 달릴 수 있고, 그 이후엔 내연기관 엔진으로 주행한다.
PHEV는 전기차 충전기가 부족하고 주행 거리가 짧았던 지난해까지만 해도 친환경차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엔진으로 멀리 달릴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됐다. 그러나 충전소가 확대되고 전기차 주행 거리 및 충전 속도가 개선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유럽에선 BEV 보급을 늘리기 위해 PHEV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내년부터 최소 60㎞ 이상을 전기모터로 주행할 수 있는 PHEV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기준을 강화할 예정이다. 전기모터 주행 거리가 40㎞ 이내인 대다수 PHEV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다. PHEV는 ㎞당 이산화탄소를 50g가량 배출해 친환경차가 맞는지에 대한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자동차업계도 PHEV보다 BEV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마르쿠스 셰퍼 메르세데스벤츠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달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PHEV는 다임러에서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은 모델”이라며 “PHEV에 신규 투자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는 “PHEV보다 BEV용 부품 가격이 비싸 부품업체들도 BEV 판매 호조를 선호한다”고 전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