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AA.27829697.1.jpg)
국회 국정감사를 마무리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원팀’ 선거대책위원회 준비에 나섰다. 이르면 25일 경기지사직을 사퇴하고 대선체제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아직까지 이낙연 전 대표와의 회동 일정이 잡히지 않은 데다 이 전 대표가 특별한 메시지 없이 잠행하고 있는 만큼 본격적인 대선체제 전환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 후보 측은 이 전 대표와의 면담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일정 조율을 이어가고 있다. 선대위 출범 일정을 고려했을 때 23일 또는 24일엔 면담이 성사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가급적 이 전 대표를 빨리 만나 경선 과정에서 쌓인 앙금을 풀고 손잡는 모습을 보여줘야 본선 후보로서의 역할 수행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 후보 수행실장인 김남국 의원은 “우리(이재명 후보) 쪽 김영배 의원과 저, 또 (이낙연 캠프였던) 김종민 의원, 윤호중 원내대표 등 여러 명이 (면담 성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별다른 메시지를 내지 않고 칩거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스스로도 마음을 추스를 시간이 필요하고, 지지층의 상심도 워낙 컸다”며 “지지자들이 법원에 제출한 가처분신청 결과도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14일 캠프 해단식 후 부인 김숙희 씨와 강원도 등으로 여행을 떠난 것으로 전해졌다.
‘명낙회동’ 일정이 잡히지 않으면서 당초 22일 정도로 언급된 이 후보의 경기지사 사퇴 시점도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도정을 마무리하고 다음주쯤 사퇴하는 방향으로 이 후보가 마음을 굳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도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내에서도 급하게 회동을 추진하는 것보다는 당내 경선 후유증부터 해결돼야 한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 후보가 국감에 직접 출석하면서 대장동 의혹을 정면돌파하는 전략까지 썼지만 이 후보 역시 지지율이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날 NBS 조사(18~20일 조사·표본오차 95%·신뢰수준 ±3.1%포인트)에 따르면 4자 가상대결에서 이 후보는 지지율 35%를 얻어 야권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34%)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지만 30%대 박스권 지지율을 극복하진 못했다.
고은이/전범진/조미현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